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이 멜라민이 섞일 수 있는 중국산 수입 과자류 전반에 대한 조사 내용을 어제 발표했다. 결론은 그 동안 드러난 10개 품목 외에는 안전하다는 것이다. 그나마 다행이며, 이로써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한껏 자극했던 '멜라민 파문'이 진정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식탁에 자주 오르는 중국산 버섯과 채소에 대해서도 검사한 결과 멜라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니 불필요한 걱정까지 덜 수 있게 됐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큰 탈이 없었다는 이유로 이번 사태를 그냥 넘길 수는 없다. 당국의 안이한 대응과 기업들의 도덕적 해이는 언제든지 또 다른 'ООО파문'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달 초 중국의 멜라민 사태가 국내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했으나, 중순에 멜라민 사료로 키운 양식 메기 수백 톤이 발견되기까지 식약청은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았다. 오죽하면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늑장 대처가 맞다. 국민에게 송구스럽다"며 머리를 숙였겠는가.
소비자를 대하는 관련 기업들의 행태는 더욱 문제였다. 처음 멜라민 과자가 확인됐던 기업이나 나중에 드러난 기업이나 사회적 책임의식은 손톱만큼도 찾기 어려웠다. 식약청 못지않은 연구인력과 설비가 있는데도 중국 사태 이후 아무런 자체조사를 하지 않았거나, 알고 있으면서도 정부가 확인할 때까지 모른 척하자는 심산이 아닐 수 없다. 일본에서는 유사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 기업주가 사장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자청해 국민에게 깊이 사죄했다. 그 정도의 사회적 책임은 있어야 소비자의 신뢰를 구할 수 있다.
식약청은 앞으로 판매금지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유사사태의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겠다고 한다. 그 동안 그만한 일조차 하지 않고 있었다는 것이 놀랍다. 식약청과 기업에 대한 책임 추궁이 불가피한 이유다. 아울러 수년 전부터 거론되고 있는 식품 안전관리의 일원화 방안도 매듭이 지어져야 한다. 이번에도 사태가 불거지자 복지부와 농수산식품부는 여전히 자기들 중심의 일원화만 고집하고 있다. 소비자 입장을 먼저 생각하는 범 정부적 차원의 조정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