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미래 먹거리’라며 6대 분야 22개의 신(新)성장동력 비전을 발표했다. 그러나 대부분 참여정부 시절 발표된 차세대 성장동력 10대 산업이나 11일 발표된 9대 그린에너지산업 발전 전략과 중복돼 신성장이라는 말이 무색하다는 지적이다.
지식경제부와 신성장동력기획단(단장 서남표 KAIST 총장), 콘텐츠코리아추진위원회(위원장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는 22일 대전 전자통신연구원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신성장동력 보고회를 열고 22개 분야를 신성장동력으로 최종 선정, 발표했다.
22개 신성장동력에는 먼저 에너지 환경 부문에서 저급탄을 원료로 합성석유를 생산하는 무공해 석탄 에너지, 해조류를 활용해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는 해양 바이오 연료, 태양전지, 화력발전소나 제철소 등에서 이산화탄소를 모아 화학제품 원료로 재활용하는 이산화탄소 회수 및 자원화, 수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를 얻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원전플랜트 등이 포함됐다.
또 수송 시스템 부문에서 연비가 높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미래형 자동차인 그린카, 조선산업에 첨단기술을 접목해 고부가가치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을 만드는 선박ㆍ해양시스템 등이, 뉴 정보기술(IT) 분야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차세대 무선통신,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전자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주파수를 통해 자동 인식하는 무선인식(RFID)과 센서를 통해 주변정보를 수집하는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USN) 등이 선정됐다.
융합 신산업 부문에선 로봇, 신소재ㆍ나노융합, 기존 전통산업과 IT 산업간 융합을 통해 전통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IT융합시스템, 방송통신 콘텐츠와 서비스ㆍ네트워크ㆍ단말기 등을 포괄하는 방통융합미디어가 포함됐다. 이밖에 바이오 신약 및 의료기기, 문화콘텐츠, 소프트웨어, 디자인, 헬스케어도 신성장동력에 선정됐다.
정부는 이 같은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내년부터 2013년까지 총 99조4,000억원(정부 7조9,000억원, 민간 91조5,000억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른 신성장동력의 부가가치 생산액은 올해 116조원에서 2013년 253조원, 2018년 576조원으로 증가하고, 신규 일자리도 5년 간 88만개, 10년 간 226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산ㆍ학ㆍ연 전문가 360여명이 참여한 기획단은 3월부터 수요조사와 대국민 공모 등을 통해 400여 개 과제를 발굴하고 토론회와 간담회 등을 거쳐 이를 21개로 좁혔으며 문화부가 발굴한 문화 콘텐츠를 포함, 22개를 최종 선정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어려운 시기에 위기를 극복하는 길은 신성장동력을 찾아서 민과 관이, 기업과 정부가 적극적인 협력을 하는 것”이라며 “녹색 성장은 선택의 문제가 아닌 피할 수 없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박일근 기자 ikpark@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