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6개월 간 총리의 위상도 파도를 탔다.
새 정권을 만들어낸 사람들이 출범 당시 갖고 있던 국정 운영 골격은 ‘청와대를 정점으로 한 일사분란한 지휘체제 구축’이었다. 이를 위해 대통령직인수위는 가장 먼저 총리실에 손을 댔다.
전 정부 총리실은 막강했다. 이해찬 총리로 대표되는 참여정부 책임 총리는 국내 현안에서 막강 파워를 행사했고, 총리실은 조직과 권한을 불렸다.
새 정부 국정 철학은 이를 용인할 수 없었다. 국무조정실이 사라지고 그 기능을 청와대가 떠안았다. 참여정부 총리의 자리가 대통령 옆이었다면 새 정부의 총리는 대통령 뒤였다 .한승수 총리는 자원외교라는 새로운 영역을 안고 뒤로 물러섰다.
쇠고기 파동으로 나라가 들썩였지만 총리는 전면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총리는 도대체 어디 있느냐”는 비판이 나왔고, 인적쇄신 논란에도 휩싸였다.
하지만 인적 쇄신 파고를 넘어서면서 총리의 위상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청와대부터 총리의 역할 강화론에 무게를 싣기 시작했다. 7월 신설된 국가정책조정회의는 달라진 위상을 반영한다.
이 같은 변화는 6개월 청와대 중심 국정 운영에 대한 반성에서 나왔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완충 효과를 얻기 위해 일시적으로 총리를 내세운 것인지, 근본 철학이 바뀐 것인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이동훈 기자 dhlee@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