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사실상 '국내선 전용'으로 역할이 축소된 김포공항을 국제공항으로 활성화하는 방안을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국토해양부와 한국공항공사는 이명박 대통령 지시에 따라 국제선 증편에 적극적인 반면, 소음 피해를 우려하는 인근 주민들과 경쟁 관계에 놓이게 된 인천공항은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21일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13일 열린 한일 항공회담에서 현재 하루 왕복 8편인 김포~하네다 노선을 2010년 10월부터 12편으로 증편키로 합의하는 등 김포공항 국제화 움직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중국 상하이의 홍차오 공항으로도 매일 4편의 왕복 항공편이 개설된 것까지 감안하면 이미 국제공항으로 부활한 것이다.
정부와 김포공항을 관리하는 한국공항공사는 앞으로도 국제선 운항을 더욱 늘릴 방침이다. 국토부는 지난 3월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김포공항 활용도를 높이라"는 지시를 받은 뒤부터 '김포공항=국내선'이라는 방침을 번복, 국제선 증편을 서두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행 규정으로도 일본과 중국 등지의 반경 1,500㎞ 이내 국제선 노선 취항이 가능하다"며 "김포에서 국제선을 타려는 승객이 많아 국제선 신설 및 증편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도 "공항 시설은 연간 22만6,000회의 이착륙이 가능한데 활용률은 절반에 불과하다"며 "인천공항에는 없는 틈새 국제노선인 일본 오사카, 중국 상하이ㆍ칭다오, 대만 카오슝 노선 등을 개설해 활용도를 높이는 게 국가적으로도 이익"이라고 말했다. 세수증대와 지역상권 활성화를 기대하는 서울시와 강서구도 같은 생각이다.
반면 서울 양천구와 강서구 등 공항 인근 주민들은 소음 공해를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국제선이 증편되면 단순히 이착륙 비행기가 늘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대당 소음도 커지기 때문이다.
국제선에 주로 투입되는 대형 항공기의 경우 중소형 항공기보다 장착 엔진이 많아 소음도 그만큼 크다. 실제로 승객 80명을 태우는 중형 항공기(보잉 737)는 엔진이 2개인 반면, 300여명을 태우는 대형 항공기(보잉 747)에는 4개의 엔진이 필요하다.
양천구 신월동에 사는 박모(55)씨는 "김포공항이 국내선 전용이 된 뒤에도 인근 지역의 소음이 항공법상 대책 마련이 필요한 기준(80웨클)을 넘고 있는데 대형 항공기를 증편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말했다. 주민들은 각 지역별 대책위를 구성하는 한편, 이르면 다음달 국제선 증편을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도 열 계획이다.
인천공항의 반발도 거세다. 인천공항 관계자는 "김포공항의 국제선 증편은 기존 정책인 인천공항 허브화 전략에 위배된다"고 말했다.
그는 "미주노선 등으로의 환승을 원하는 중국, 일본 승객은 김포를 거쳐 인천공항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기 때문에 오히려 승객감소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관규 기자 qoo77@hk.co.kr윤재웅기자 juyoon@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