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 김모(37)씨는 지난해 9월 3,000만원을 중국에 투자했다. 올 10월에 내야 할 아파트 분양대금(3,700만원)으로 1년 정도의 여윳돈이었는데, 안전한 예금을 택하려다 은행 프라이빗뱅커(PB)의 "올림픽 전까지는 무조건 수익이 난다"는 적극적인 권유에 중국펀드를 들게 됐다.
그때만 해도 중국펀드의 수익률이 40~50%수준이라 조금 떨어진다(20~30%대) 해도 부족한 잔금(700만원)을 채울 수 있겠다는 행복한(?) 계산도 했다. 그러나 베이징올림픽 개막(8일)을 코앞에 둔 현재 그의 중국펀드 수익률은 -25%대다. 그나마 10%정도 손실을 만회한 게 위안거리다. 그사이 분양대금 만기일은 하루하루 다가오고 있다.
지난해 10월 중국펀드 광풍의 끝 자락을 잡은 투자자들에게도 최소한 믿는 구석이 있었다. "(중국 증시가) 이미 많이 올랐다"는 당시 시장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은행 등의 펀드판매 직원들은 "아직 멀었다"는 근거로 베이징올림픽을 들었다. 그 결과 지난해 중국펀드 규모는 17조6,000원으로 전년보다 5배 넘게 급증했다.
곧 D-데이다. 하지만 중국펀드로 1년 새 돈을 벌었다는 소식은 귀를 씻어도 들어볼 수 없다. 중국 증시(상하이종합지수)는 반 토막(6,000→2,700선)이 났고, 중국펀드의 수익률은 최근 살짝 오른 것이 마이너스 20~30%수준이다. 대외악재 등 돌출변수가 많았다고는 하지만 시장과 펀드판매 현장에서 외쳤던 '올림픽 효과'는 묻혔거나 거의 없었던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최근 시장의 화두는 '포스트올림픽(Post Olympic) 중국펀드'에 쏠려 있다. 올림픽 이후는 생각지도 않았는데, 펀드 손실이 크다 보니 뒤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된 셈이다. 그러나 같은 사안을 놓고도 해석은 분분하다.
먼저 올림픽을 정점으로 경제가 급격히 위축되는 '밸리 효과'(Vally Effect). 우리도 겪은 터(1988년 서울올림픽)라 가장 우려하는 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밸리 효과가 과거 다른 올림픽보다 클 수 있고 추가적인 위험요인도 상존해 중국 경제의 침체가 예측보다 심각할 수 있다"고 진단했고, 삼성경제연구소도 중국의 경제둔화를 점치고 있다. 인플레 압력, 무역흑자 감소, 핫머니(단기성 투기자금)의 대량유출 가능성 등도 위험요소다.
해외와 중국 현지의 전망도 밝지 않다. 미국의 경제 격주간지 <포브스> 는 7월에 중국 증시의 바닥을 지금의 반 토막 수준인 1,200선이라고 내다봤고, 중국의 일부 급진적 전문가들은 "해외자금의 철수로 부동산과 주식시장 폭락, 위안화 절화와 물가상승이 수시로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중국정부가 올림픽 랠리를 위해 분위기를 띄우고 있는 지금이 (중국 증시에서) 도망갈 절호의 기회"라고까지 할 정도다. 포브스>
그러나 국내 증권사는 낙관론을 굽히지 않고 있다. 베이징의 경제규모는 중국 전체의 3%중반으로 개최도시의 경제비중이 높아 국가전체의 총력전이었던 이전 올림픽(15~35%)과는 차원이 달라, 설사 올림픽 이후 베이징지역에 경기침체가 찾아와도 중국 전체엔 작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아울러 ▦잇단 급락으로 매력적인 가격대 ▦중국 내수시장의 성장세 지속 ▦중국정부의 경제정책 전환(긴축→성장 유지) 가능성 및 증시 안정대책 등을 '장미빛 중국 증시'의 근거로 꼽는다.
올림픽 이후 전망이 제 각각이라 중국펀드에 대한 전략 역시 '분산'과 '인내'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 공성율 국민은행 금융상담센터 재테크팀장은 "투자자들이 보유한 펀드를 보면 이름만 다를 뿐 실체는 거의 중국펀드"라며 "혹시 오르더라도 이른바 '물타기'를 하지 말고 2, 3회에 걸쳐 10~15%씩 빼내 지나친 집중을 막으라"고 말했다.
조한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작년 7월 이전에 가입해 누적수익률이 플러스라면 일부 환매해 채권 등에 분산하고, 그 뒤 가입해 누적수익률이 마이너스라면 앞으로 중국 증시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믿고 계속 보유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고찬유 기자 jutdae@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