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교육 민심은 ‘안정’을 택했다. 30일 최종 개표결과 근소한 차이지만 보수 진영을 대표하는 공정택 후보가 진보 진영의 단일 후보로 나선 주경복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이에 따라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도 한층 힘이 실릴 전망이다.
뚜껑을 연 선거 결과는‘조직과 이념’이 승패를 가른 절대 요인임을 보여줬다. 700만명에 가까운 부동층은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 조직대 조직, 보수대 진보의 힘겨루기에서 공 당선인이 근소하게 앞섰을 뿐이다.
지역별 투표율을 보면 보다 확실해 진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서초구(19.6%)와 강남구(19.1%)는 나란히 투표율 1,2위를 기록했다. 강북의 ‘사교육 1번지’인 노원구(17.1%)의 투표율도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상대적으로 교육 수준이 떨어지는 지역으로 알려진 은평구(13.5%)와 중랑구(13.7%)의 투표율은 저조했다.
투표율만이 아니다. 강남의 ‘빅3’인 서초(59%)ㆍ강남(61%)ㆍ송파(48%)구는 공 당선인에게 절대적 지지를 보냈다. 공 당선인은 8개 지역에서 승리했을 뿐이다.
게다가 두 후보의 표차가 2만여 표(1.7% 포인트)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이들 세 지역에서 당락이 갈린 것으로 분석된다. 공 당선인이 선거운동 기간 내내 전면에 내세웠던 ‘반(反) 전교조’ 구호가 보수 표심을 자극해 투표장으로 이끈 것이다.
시민들의 반응도 대체로 일치했다. 이날 강남구 대치초등학교에서 투표를 마친 이모(48ㆍ여)씨는 “외국어고에 다니는 딸이 있는데, 전국교직원노조가 지지하는 교육감이 되면 외고생들이 불이익을 당할 게 뻔하다”고 했다.
공 당선인의 공약이 딱히 맘에 들어서가 아니라 전교조가 싫어서 찍었다는 얘기다. 공 당선인 캠프 관계자도 “낮은 투표율에도 불구하고 전교조에 대한 반감이 보수적인 중ㆍ장년층을 똘똘 뭉치게 한 것 같다”고 전했다.
‘촛불’로 대변되는 젊은층의 제도권 정치에 대한 무관심도 공 당선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주은우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젊은 세대는 정치적 관점을 분출할 수 있는 촛불집회에는 환호하다가도 정치에 대한 무조건적인 환멸 때문에 선거와 같은 공식 의사표현 기회는 외면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경쟁 위주의 교육시스템은 반대하지만, 자녀 진학 등 이해관계가 걸린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성세대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의미다.
김이삭 기자 hiro@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