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일 신시대 개막’이라는 수사에도 불구하고 독도문제ㆍ동해명칭문제ㆍ야스쿠니 신사 참배문제가 끊임없이 불거지는 등 양국간 역사갈등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우리 정부와 시민단체는 “대마도도 우리 땅이라고 하자” “망언을 삼가라”식으로 항의하지만 갈등은 반복되고 있다.
4년여의 논의 끝에 2005년 발간된 한ㆍ중ㆍ일 공동역사교재 <미래를 여는 역사> 집필에 참가했던 양국 학자, 시민운동가들과 독일ㆍ프랑스, 독일ㆍ폴란드 공동역사교과서 집필의 경험을 갖고 있는 유럽학자들은 최근 발행된 <동아시아에서 역사인식의 국경넘기> <역사인식을 둘러싼 자화상, 외부의 시선> (선인)에서 한ㆍ일 역사갈등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역사인식을> 동아시아에서> 미래를>
양미강 아시아평화와 역사연대 전 상임위원장은 “아시아, 특히 일본의 정치 지도자들은 전후 60년이 지나도록 별로 달라지지 않은 만큼 이들을 변화시킬수 있는 초국가적인 시민연대활동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 방안으로 후쇼사 교과서 불채택운동 같은 네거티브 전략을 공동역사교재개발 같은 포지티브 전략으로 전환할 것, 한ㆍ일 지역의 풀뿌리 시민사회 중심으로 역사대화에 나설 것, 한국에 있어서의 ‘독도’, 일본에 있어서의 ‘평화헌법’ 등 상대방의 관심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것 등을 제시했다.
양국의 역사교육이 국민국가를 형성하는 국민육성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학교교육을 통한 한ㆍ일 양국민의 역사화해가 어렵다고 보는 가사하라 도쿠시(笠原十九司) 쓰루문과대 교수도 학교교육보다는 시민ㆍ시민단체ㆍ시민운동의 입장에서 역사교육 참가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일본과 중국, 한국의 현행 역사교육은 각각 민족적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기 위해 자국사 중심으로 이뤄져있는 만큼, 양국 시민사회가 인권ㆍ평화ㆍ민주주의라는 보편적 가치관을 공유하는 동아시아 시민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클라우디아 슈나이더 전 라히프치히 대학 교수는 한국측의 분노와 비판은 정당하지만 항의, 시위방식이 의례적이 되면 일본측이 상황을 덜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실현 가능한 제안을 통해 상황을 개선하라고 권고했다.
그는 한류 등 긍정적인 일본내 한국 이미지의 활용, 공동역사교과서나 유사교재의 개발, 현존하는 일본규정인 ‘근린제국조항’(국제이해와 국제협조의 견지에서 근린 아시아제국과의 근현대 역사를 다룬다는 교과서 검정조항) 이행 촉구, 일본측의 작은 상황개선도 인정해줌으로써 공동활동의 단초를 마련할 것 등을 주문했다.
이왕구 기자 fab4@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