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열린 주요 8개국(G8) 정상회담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합의하는 성과를 남기고 어제 끝났다. ‘정상 선언’이 지적했듯 세계경제가 경기하강과 원유ㆍ식량 가격폭등으로 불안한 가운데 열린 이번 회담도 대체로 위기 해결을 위한 공동 노력을 다짐하는 데 머물렀다. 다시 ‘부자들의 말 잔치’에 그친 셈이다. 그러나 온실가스 감축 합의는 과거보다 진전된 것이어서 우리도 한층 더 대비를 서둘러야 할 과제를 안게 됐다.
G8 정상들은 원유ㆍ 석유가격 급등에 강한 우려를 표명, 산유량 확대를 요구하는 한편 투기 차단을 위한 상품선물시장의 투명성 제고에 합의했다. 그러나 산유국들이 증산에 응할지 의문이고, 선물시장 규제는 미국부터 소극적이다. 또 농산물 수출규제 철폐와 비식용작물 바이오 연료 개발에 힘쓰기로 합의한 것도 각국의 이기심에 비춰 실효성이 의심스럽다.
그나마 핵심 의제인 기후변화 대책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2050년까지 50% 줄이기로 합의한 것은 내년 유엔 기후정상회담의 전망을 밝게 했다. 유럽연합(EU)이 앞장선 온실가스 감축 요구에 줄곧 소극적이었던 부시 미 대통령이 ‘진지한 고려’를 약속한 것은 각각 80%와 60% 감축을 공약한 민주당 오바마와 공화당 매케인 후보 등 후임자에게 길을 열어준 것으로 평가된다.
물론 이런 합의는 구속력이 없는 데다 2020년까지의 중기 목표 등에 관한 구체적 합의는 이루지 못했다. 또 G8과 중국 인도 등 신흥공업국의 이해가 여전히 크게 엇갈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량 10위인 우리나라는 이명박 대통령이 확대 정상회의에서 개발도상국 인센티브 제도로 ‘탄소 크레디트’ 도입을 제안, 2012년 교토 의정서 만료 이후 기후변화 체제를 선도할 의지를 밝혔다.
그러나 외교적 노력보다 더 주목해야 할 것은 일본과 EU가 훨씬 앞선 ‘저탄소 친화형’으로 경제구조와 사회 체질을 바꾸는 것이다. 개별 도시와 기업, 대학 등이 저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 투자를 아끼지 않는 것을 본받아야 한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