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태우
역대 정권에서도 언제나 위기는 있었다. 다만 대통령의 통치스타일에 따라 정국 타개의 방법에 조금씩 차이가 났을 뿐이다.
가장 드라마틱한 장면은 1987년의 6ㆍ29 민주화 선언이다. 서울대생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을 계기로 민주화 요구가 분출하면서 학생과 시민들의 시위가 연일 계속되자 집권당인 민정당의 노태우 대표는 직선제 개헌요구를 전격 수용했다. 물론 이는 전두환 당시 대통령과 청와대의 기획이라는 게 정설이지만, 어쨌든 아래로부터의 요구를 찍어눌렀던 이전 군사정권의 위기 수습방식과는 확실히 차이가 났다. 집권세력으로선 이례적으로 국민과 타협을 한 셈인데, 민정당 노태우 후보는 이에 힘입어 같은 해 12월 직선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
● 김영삼
YS정권 때는 정권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본격적인 위기가 찾아왔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97년 2월 한보사건과 자신의 아들 현철씨 문제로 대국민 사과담화를 발표해야 했다. 이 일로 가뜩이나 레임덕에 시달리던 김 전 대통령은 뒤이어 불어닥친 11월 외환위기라는 암초를 만나 맥없이 좌초했다. 대선을 코 앞에 두고 벌어진 일이라 별다른 수습도 하지 못한 채 그는 역대 어느 대통령보다 낮은 성적표를 들고 청와대 문을 나서야 했다.
● 김대중
김대중 전 대통령과 민주당은 5년 내내 거대야당인 한나라당과 사사건건 마찰을 빚어야 했다. 소수정권인 만큼 상생의 정치가 어느 때보다 중요했지만 DJ정권은 의원빼가기, 세풍ㆍ병풍과 같은 기획수사 등 ‘힘의 정치’로 한나라당과 맞서는 데서 해법을 찾았다. 하지만 정권 말기 터진 각종 게이트와 아들들 비리는 결정타였다. 꽉 막힌 여야관계와 정권 말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김 전 대통령 역시 마땅한 해법 없이 2002년 6월 대국민 사과 성명을 직접 낭독할 수밖에 없었다.
●노무현
재임 중 크고 작은 위기를 겪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의회가 대통령 탄핵안을 가결하면서 가장 결정적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그는 17대 총선에서 유권자가 탄핵 주도세력에 준엄한 심판을 내림으로써 기사회생한다. 이후 노 전 대통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개헌 추진 등으로 바닥에 떨어진 지지율을 높이려고 했지만 오히려 정통적인 지지세력이 이탈, 퇴임 때는 가장 인기없는 대통령으로 낙인 찍혔다. 반대세력에 대한 편가르기, 설득과 포용력 부족이 노 전 대통령 실패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는 점은 국민과의 소통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는 이명박 대통령이 귀 기울여야 할 대목이다.
김영화 기자 yaaho@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