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를 비롯한 공공기관 등도 해킹의 안전지대는 아니다. 해외 발 해킹 등이 갈수록 지능화하고 있는 반면 보안수준은 뒤쳐지는 바람에 공공기관의 해킹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공공기관에 해킹 비상이 걸린 것이다.
국가정보원이 최근 발간한 ‘2008 국가 정보보호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공공기관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사고는 총 7,588건으로 집계됐다. 2006년(4,286건)에 비해 77%나 증가한 수치다. 작년 민간 부문 해킹 사고가 2만1,732건으로, 2006년(2만6,808건)보다 19% 정도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지난해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 건수는 총 3,827건으로 2006년(1,470건)의 2.6배에 달했다. 행정안전부 장영환 보안정책과장은 “지방에서 많게는 연간 수 천 건씩의 해킹 침입 흔적이 발견되고 있지만, 이를 모두 걸러내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정부 부처 등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0월 열린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국회 국방위 소속 대통합민주신당 김명자 의원은 육군 내 컴퓨터 전산망 바이러스 침투 및 해킹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간 4,500여건(해킹 145건, 바이러스 침투 4,400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앞서 2005년 9월 국회 행정자치위 한나라당 유정복 의원도 당시 행정자치부 국정감사에서 “대통령 비서실을 포함한 78개 기관이 연결된 전자정부통합망이 해킹에 무방비 상태였다”며 “주요 행정정보 시스템에 대한 불법 접속시도가 하루 평균 5,768건에 자체적으로 3,847건을 차단하고 있지만 해킹 징후는 하루 평균 3, 4건씩 발견된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정부는 해킹 방지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도 인력과 예산 확보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해 8월 ‘국가 사이버 방어시스템 강화해야’제목의 국정브리핑에 따르면 국방, 정보통신 분야는 해커를 분석해 역추적하는 능력을 갖추고 전자정부 사이버침해대응센터(G-CERT) 등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 부처 및 16개 지자체 가운데 97.7%가 사이버 안전 전담조직조차 없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부처 통신망을 통합 관리하는 정부통합전산센터측은 “중국 등에서 여러 차례 전산망에 접근하려는 시도가 적발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2006년 센터 개설 이후 정부기관 전산망이 해킹 당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전산센터측은 부처간 전자 문서나 메일 등에서 해킹이나 악성 바이러스 등을 대부분 원천 차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전=전성우기자 swchun@hk.co.kr김종한기자 tellme@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