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에 변화의 징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정부나 기업 권력을 감시하는 역할에 치중해“정치·경제적 색깔이 너무 강하다”는지적을 받았던 기존 활동 방식에서벗어나 서민들의 민생문제 해결에 눈을돌리기 시작했다.‘ 생활속으로’를 표방하고나선것이다. 사회학자들은“시민운동이‘생투’(생활투쟁) 시대를맞았다”고 보고 있다.
19일대학 등록금 인상 문제해결을촉구하며 결성된‘등록금 대책을 위한시민·사회단체 전국네트워크’에는 학생·학부모 단체뿐 아니라 참여연대와한국YMCA전국연맹 등 520여개의시민사회단체가 대거 참여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이 학생들에게 국한됐던등록금 인상 문제를 사회적인 이슈로부각시키려는 시도다.
참여연대 안진걸 간사는“‘등록금1,000만원 시대’를맞아 대학 등록금이 가장 중요한 민생 문제가 됐다”며“서민들과 함께 호흡하는 시민운동으로서의 역할을 제고하기 위해 공동활동을 펼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시민운동이 민생 속으로 뛰어들면서 올해 총선에서는 시민사회 진영의낙천·낙선운동과 같은 정치적 활동도급격히줄전망이다. 대신‘민생 해결’을화두로 삼아각후보들에게 과제를제시한뒤정책 반영을 촉구하는 식으로 선거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시민운동의 노선 전환은 변혁에 대한 전망 등 거대 담론보다는“일반 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고통에 천착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직접적인 이유가 된 것으로 보인다. 참여연대는지난해 민생희망본부를 출범, 서민의삶의 질 향상을 기치로 내걸면서‘3대(주거비·교육비·의료비) 가계부담줄이기 운동’을 펼쳐 왔다.
김민영 사무처장은“재벌개혁과 같은 문제도매우 중요하지만 보통의 서민들이 생활에서 느끼는 고통과는 괴리된 감이있다”며“시민운동의 접근법도‘운동’의논리에서‘현장’의 논리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사무처장은 그러면서도“일단 방향은 바꿨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성과는 딱히 내 놓지못한 것은 반성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민생과 관련해 구체적인 사업을 구상중인 곳도 있다. 함께하는시민행동은 올해 민생과 관련해 2가지 새로운 사업을 준비 중이다. 정란아 정책실장은“참여정부 시절 무더기로 폐기된 민생법안의 재상정을 촉구하고, 법이나 제도로는 차별이 아니지만 일상에서겪는 차별을 시정하기 위한 사회적시스템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민간싱크탱크 희망제작소와 아름다운재단이 펼치는 각종 사업 등은 시민들의 일상 생활과 함께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김동노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사회운동의 영향력이 전체적으로 약화한 상황에서 그나마 힘을 발휘하고있는것은 시민 개개인의 이익과 접합되는 지점에 대한 운동”이라며“시민사회운동이 민생 분야로 활동 범위를 넓혀가는 것도 이 같은 추세가 반영된것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외연이 넓은 공익 운동이 설득력을 잃어버린 시점에서‘작은 운동’들끼리의 사안별·지역적 네트워크 구축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정우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