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당선인은 23일 한국노총과의 간담회에서 "노동자 없는 기업인 없고, 기업인 없이는 노동자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비즈니스 프렌들리(business friendly) 에는 노사가 다 들어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정부가 지나치게 '친기업'적이 아니냐는 노동계의 시각을 불식하기 위한 해명이다.
사실 그 동안의 행보로 보면 오해를 살 만도 했다. 재계와는 하루가 멀다 하고 만나 '경제 살리기'를 위한 지원과 규제 철폐를 약속하면서, 노동계에는 무관심한 모습이었다.
'배신자'라는 소리까지 들어가면서 대선에서 한나라당과 정책연대를 맺고, 이명박 당선인을 공개 지지한 한국노총에조차 눈길을 주지 않아 반발을 샀다.
늦은 감은 있지만, 이 당선인과 한국노총의 만남은 이런 불신과 갈등을 씻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제에 노사가 따로 없다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안다.
경제가 살아나지 않으면 일자리도 늘어나지 않는다. 또 규제만 푼다고 기업이 절로 좋아지는 것도 아니다. 노동자의 땀과 협조 없이는 이 당선인의 '경제 살리기'도 불가능하다. 더구나 세계 경제환경까지 어려운 상황에서 노사화합이야말로 절실한 과제다. 이 당선인 역시 이런 점을 잘 알고 있기에 몇 번씩 강조했을 것이다.
그러나 노사화합은 말로만 되는 게 아니다. 서로 실천하는 모습을 통해 신뢰가 쌓여야 한다. 정부는 노동계 의견을 최대한 정책에 반영하고, 한국노총이 제안한 정례 정책협의회 구성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
노동계 역시 이 당선인이 강조한 것처럼 10~20%의 생산성 향상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기업으로 하여금 노동자도 적이 아닌 동반자라는 믿음을 심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자면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당장 비정규직 문제도 그렇고, 공기업 개혁에 따른 고용축소에 대한 노조의 반발도 예상된다. 29일 만남에서 새 정부의 노동정책에 반대하며 투쟁을 선언한 민주노총을 어떻게 설득하느냐도 문제다. 이제부터 정말 이 당선인이 인내를 갖고 대화를 통해 타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