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참패 이후 당 쇄신 방향을 놓고 대통합민주신당 내부의 후폭풍이 거세다.
24일 의총에선 기존의 친노(親盧) 진영 후퇴론에 더해 정동영 전 의장 책임론까지 등장했다. 이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가까운 386 의원들이 주도했다. 송영길 임종석 의원은 “대선이 끝난 후 정 전 의장의 메시지가 명료했으면 좋겠다”며 대선 이후 정치 재개 의욕을 숨기지 않고 있는 정 후보를 겨냥했다.
이들은 총선 개혁론도 제기했다. 송 의원은 총선 국면에서의 생존 방안에 대해 “2004년 총선 당시 탄핵으로 위기에 처해 있던 한나라당이 재선의원으로 중립적 성향인 김문수 의원에게 공천심사위원장을 맡겨 120석을 획득할 수 있는 명분을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조경태 의원은 “수도권에서 선전할 지도부 체제를 짜야 한다”며 손 전 지사 옹립을 위한 여론몰이에 나섰다.
이들의 화살은 원로그룹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른바 중진 살인성인론이다. 문학진 의원은 “중진 원로의원이 비례대표나 선호하는 지역에 출마를 고집할 것이 아니라 당에서 명령하는 대로 어디든 나가서 싸워야 한다”며 “국민을 설득할 수 있는 적극적 출마 방식이 당 차원에서 고려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한길 그룹을 제외한 당내 다수의 기류는 내달 3일 전당대회에서 지도부를 합의추대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만약 경선이 성사될 경우에도 친노와 중진인사들을 배제한 채 손 전 지사와 김한길 의원 등이 대결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김한길 의원과 가까운 조일현 의원은 이날 최고위원직을 사퇴하면서 “김 의원 정도면 친노의 균이 가장 적게 묻지 않았냐”고 주장했다. 이처럼 주로 김한길계 의원들이 총대를 메고 모든 화살을 노무현 대통령 책임으로 돌리는 데 대해 친노 의원 대다수는 더 이상의 논란을 피하자는 차원에서 맞대응을 자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화영 의원은 의총을 마찬 뒤 “정 전 의장은 언제나 자기를 버리면서 되살아나는 모습이 부족하다”고 코멘트하기도 했다.
한편 신당은 전당대회 의장에 김덕규 상임고문을, 부의장에 장향숙 의원을 임명했다. 또 당 쇄신위원장에 김호진 상임고문(전 노동부장관)을 위촉하고, 전대준비위원장에는 정동채 사무총장을 임명했다.
박석원 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