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외교에도 시동을 걸었다.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의 축하 전화를 받고 한미관계 발전과 북핵 해결 협력 코드를 맞췄고, 주한 미ㆍ일ㆍ중ㆍ러 등 4강 대사들과도 만나 현안을 논의했다. 후쿠다 일본총리와도 통화를 했다. 이제 막 선을 보이는 이 당선자의 외교가 어떤 무늬와 모양으로 펼쳐질지 자못 기대가 크다.
이 당선자는 첫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보수와 진보를 뛰어 넘어 실용주의적 외교를 하겠다"고 천명했다. 이념이나 명분을 넘어 국익에 충실한 실리 외교에 주력하겠다는 의지이다.
참여정부 일각에서 표출됐던 자주 과잉이나 일부 보수진영의 극우성향을 지양하고 균형 잡힌 외교를 전개해나가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실용주의 외교의 성패는 우리 외교의 가장 중요한 축인 한미관계의 재조정에 달려 있다. 이 당선자는 "지난 5년간의 한미관계가 잘못됐다기보다는 신뢰가 좀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참여정부의 한미관계를 일정 부분 평가하면서도 '자주'코드에 의해 형성된 미묘한 불협화음을 염두에 둔 얘기일 것이다. 이명박 당선자의 대미 실용외교는 한미 간에 형식이 아닌 마음으로 통하는 실질적인 신뢰를 형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
한미 양국이 북핵 문제에 공동 대응기조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미는 그 동안 북한에 대한 인식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기도 했으나 최근 북핵 문제의 포괄적 해결 방안에 보조를 맞춰오고 있다.
하지만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남북 간에 소모적인 기 싸움이 벌어질 경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보조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새 정부의 지혜로운 대북 접근이 필요하다.
미국 이외 세 나라도 소홀히 할 수 없다. 참여정부는 한중, 한러 관계는 그런대로 유지했으나 한일관계에서는 과거사와 독도 문제 등으로 상당한 후퇴를 했다.
새 정부는 한일관계를 회복하는 한편 제1 교역상대국이면서 정치외교적으로도 관계가 깊은 중국, 동북아에 영향을 늘려가려 하는 러시아와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가는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