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열린 첫 대선 TV토론회 포맷과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각 후보 진영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문제는 시간의 부족으로 토론의 깊이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실제로 토론 참가자가 6명이나 되다 보니 2시간의 토론 동안 후보 1인당 전체 발언시간은 12분30초에 불과했다.
이는 1차적으로 선거법상 TV토론 참석기준이 국회의원 5명 이상 또는 직전 선거에서 3% 이상 득표한 정당의 후보와 선거 개시 전 1개월간 평균 지지율 5% 이상의 후보로 돼 있는 데서 기인하는 문제다.
한나라당 나경원 대변인은 “이미 빅3 토론회를 금지하는 법원의 가처분 결정이 나와 당장은 어렵지만 TV토론 참석기준과 관련해 장차 선거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V토론 횟수를 늘리고 후보 간 1 대 1토론도 허용되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오고 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 측 조용남 부대변인은 “무소속 후보는 TV토론 외에 국민에게 정책과 비전을 설명할 방법이 별로 없다”면서 “토론횟수 3회는 턱없이 부족하고, 그나마도 후보당 발언 시간이 너무 적어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대통합민주신당은 현재 순환식으로 이뤄지는 토론 방식이라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종 방송콘텐츠기획실 부실장은 “2002년에는 후보가 3명에 불과해 순환식 토론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전혀 다르다”면서 “전체 토론회 시간 중에서 각 후보가 발언할 수 있는 총시간을 할당한 뒤 토론회가 진행되는 동안 스스로 시간을 배분토록 자율성을 부여하는 총량시간제를 대안으로 제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현행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민전 경희대 정치학과 교수는 “유권자는 선거가 막바지에 가면 결국 1, 2등의 토론을 보고 싶어 한다”면서 “TV토론이 유권자의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선 최종 토론은 1ㆍ2위 후보 간 토론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컨설팅 민기획의 박성민 대표도 “6명의 후보자가 모두 참석할 수밖에 없다면 토론회 쟁점을 1, 2개로 줄여서 심도 있는 토론이 하는 것이 더 낫다”고 지적했다.
김영화 기자 yaa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