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년 11월23일 전국 교육자 대표 100여명이 서울 덕수초등학교에 모였다. 해방의 기쁨이 채 가시지 않은 ‘감격시대’ 였지만, 좌우대립으로 사회적 혼란도 극에 달했던 시절이다. 교육자들은 민주적 독립국가의 건립을 염원하며 조선교육연합회를 만들었다. 국내 최대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의 출발은 이랬다.
교총(회장 이원희)이 23일 회갑을 맞는다. 교총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창립 60주년 기념식을 갖고 새로운 출범을 선언한다. ‘국민과 함께 하는 교총’이 모토다.
교총은 물적·인적 자원이 부족했던 ‘시련’ 속에서 첫발을 내디뎠다. 해방 직후 초등 교사의 45%, 중등의 70% 이상을 차지하던 일본인 교사들이 떠나간 빈자리는 컸다. 전문학교나 대학을 졸업하면 누구나 교사가 될 수 있을 정도로 교육현장은 열악하기 짝이 없었다. 교총이 교육환경 개선에 앞장 서게 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48년 교육전문지 ‘새교육’ 발간을 시작으로 민주사회에 걸 맞는 교사의 자질 향상에 총력을 기울였다. 52년에는 시군 단위 교육자치 탄생에 산파역할을 자처했다. ‘7.15 중학 입시개혁’(68년)을 이끌어 교육평준화의 단초를 마련하기도 했다.
군사 정권 시절을 거치면서 그림자도 있었다. 교총은 71년 대한교원공제회 창설, 73년 사립학교연금법 제정 등으로 교원의 위상과 복지 향상에 공헌했지만, “정부 시책에 장단만 맞춘다”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대안세력을 자처한 전국교직원노조의 등장은 특히 큰 위협이었다. 99년 전교조가 합법화하고 교원 정년단축 조치가 시행되면서 회원수가 6만명이나 주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교총은 창립 60주년을 맞아 도약의 토대를 단단히 구축했다. 평교사 출신인 이 회장이 취임하면서 교총 운영 방향을 철저히 학교현장 중심으로 바꾸는 등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런 노력이 주효했는지, 2004년 17만8,000명까지 떨어졌던 회원 수가 다시 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한달 평균 2,000명 이상이 가입할 정도다.
한재갑 교총 대변인은 “창립정신으로 돌아가 학생과 학부모, 교원, 국민이 함께 하는 전문직 공동체를 지향하게 될 것”이라며 “학교현장 중심주의를 통해 공교육의 위기를 해결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라제기 기자 wender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