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합당이 신당 내부의 무성한 반발로 휘청거리고 있다. 12일 양당 대통령 후보와 대표 등 4자 회동을 통해 합의된 '1대 1 통합' 원칙이 하루 만에 신당 최고위원회의의 재협상 요구에 부딪쳤고, 14일 최고위ㆍ상임고문단ㆍ선대위 연석회의에서 결국 통합 조건을 재협상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4자 회동의 뜻을 존중한다는 대원칙을 세우긴 했지만, "실무협상이 아니라 통합 조건에 대한 정치협상"이라는 이낙연 대변인의 설명에서 보듯, 정동영 후보와 오충일 대표의 체면을 고려한 수사일 뿐이다.
신당의 이런 움직임과 달리 민주당은 합의된 통합조건의 1자1획도 바꿀 수 없다는 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후보 단일화 및 통합이 양당의 공통과제라는 점에서 최종적인 정치적 타협의 가능성은 크지만 현재의 난관을 돌파, 실질적 재협상의 성과를 내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신당 내부의 반발 이유는 다양하다. 합당과 같은 중요한 의사결정을 최고위원회의조차 거치지 않은 절차 상의 하자는 4자 합의 자체의 효력에 의문을 제기한다. 신당 내 '친노 세력'은 민주당과의 합당이 결국 과거 민주당으로의 회귀라는 데 불만이 작지 않다. 바로 이 점에서 합당 합의를 지켜보는 청와대의 눈길도 곱지 않다.
이런 형식론과 명분론도 내년 총선을 염두에 둔 현실적 계산에 비하면 달빛 앞의 반딧불이다. 140대 8의 의석 비율에 비추어 합당 이후 지도부와 의결기구를 1대 1로 구성한다는 것은 지나친 공천 지분권의 양보와 다름 없다.
그러나 이 모든 갈등과 불협화음의 진정한 이유는 따로 있다. 대선 승리를 위해 어떤 정치공학적 기법이든 활용하겠다는 발상이 그것이다. 애초에 국민의 뜻과 무관한 신당 출범이나 후보 단일화 논의부터 그랬다.
당당하게 심판을 받고, 대선 패배 후 자성하고 다음을 기약하라는 국민의 뜻에 거스르는 정치세력에 국민이 관심을 기울일 까닭이 없다. 이를 다시 정치공학으로 돌파하려고 하니 무관심이 더하고, 의원들의 불안도 따라서 커지는 것 아닌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