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 돈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대표 지표로 꼽혀온 '광의유동성(L)'의 효용성에 대해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 지표가 도입된 지 불과 1년반도 안돼서다. "우리 경제 전체 유동성 크기를 측정하는 지표"라며 적극 홍보했던 한국은행도 최근 들어선 L 지표의 효과에 대해 스스로 한 발짝 빼는 분위기다.
현재 한국은행이 매월 공표하는 통화 및 유동성 지표는 크게 4가지. 협의 통화(M1), 광의 통화(M2), 금융기관유동성(Lf) 그리고 L이다. 한은이 L 지표 통계를 내기 시작한 것은 작년 6월부터인데, M2나 Lf가 아우르지 못하는 정부나 기업 발행채권까지 모두 포함해 포괄적인 유동성 흐름을 살펴보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L은 당초 기대와 달리 여러 단점을 노출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다른 지표보다 1개월 늦게 통계작성이 되는 바람에 시의성이 떨어져 통화정책에는 거의 반영되지 못한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콜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에는 전달의 M2와 Lf만 보고될 뿐 2개월 전 지표인 L은 보고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게다가 평균 잔액(평잔)이 산출되는 다른 지표와 달리 L은 월말 잔액(말잔)만 집계되기 때문에, 돌출변수에 따라 들쭉날쭉하기도 한다.
구조적 문제도 있다. 한은의 또 다른 간부는 "정부가 국채를 발행하면 시중유동성이 흡수가 되지만 국채 발행액만큼 L은 오히려 증가한다"며 "너무 광범위한 지표이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추이를 보기에는 적절해도 통화정책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 나라의 경제규모가 커질수록 L은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속성이 있다는 점도 부담스러운 요인이다. 다른 통화 지표에 비해 L의 증가율이 1~2%포인트 높게 나타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7, 8월 연속된 콜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L 잔액이 계속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나자 한은이 유동성 관리에 실패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무용론을 펴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7일 한은이 발표한 '9월중 통화 및 유동성 지표 동향'에 따르면 2개월 연속 콜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중 유동성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 잔액은 1,992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0% 증가했는데, 5개월 연속 12%대 증가세다. 평잔 기준의 M2나 Lf도 각각 11.0%, 10.3% 증가하며 여전히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영태 기자 yt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