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대선에 출마하는 것은 이명박 후보를 선출한 당 경선 결과에 대한 사실상의 불복이다. 그는 아울러 2002년 대선패배 직후의 정계은퇴 약속도 번복했다. 한국 정치사의 고질적인 병폐 두 가지를 모두 답습한 것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대통령 직선제로 바뀌면서 대선 후보 선출과정에서 경선에 불복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민주당 이인제 후보가 대표적이다.
1997년 신한국당 경선에서 이회창 후보와 경합했던 이 의원은 경선에서 패한 뒤 이 후보의 지지율 하락을 명분으로 탈당했다. 그는 이어 국민신당을 창당해 대선에 출마했고 이 후보쪽 표를 잠식해 결과적으로 김대중 후보의 승리에 기여했다. 이것이 경선에 출마했다가 패배한 정당 후보의 독자 출마를 금지한 ‘이인제 법’이 만들어진 배경이다.
이 전 총재는 경선에 출마하지는 않았지만, 소속 당 후보가 정해진 뒤 탈당과 출마를 선택했다는 점에서 경선 불복과 다름 없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또 2002년 민주당 경선에서 노무현 후보에게 밀려 승산이 희박해지자 경선을 중도 포기하고 탈당해 자민련으로 옮겼다. 앞서 1992년 민자당 경선에서는 김영삼 후보와 겨뤘던 이종찬 후보가 경선투표 이틀 전 경선 포기를 선언하고 탈당해 경쟁자인 국민당 정주영 후보 진영에 합류하기도 했다.
대선을 앞두고 정계은퇴를 번복하는 경우도 있었다. 92년 대선에서 패배한 김대중 후보는 정계은퇴를 선언했으나 95년 지방선거 직후 복귀해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했다.
97년 이회창 당시 신한국당 후보는 대선에서 맞붙은 김대중 후보를 향해 “민주주의 원칙을 부정하는 배반 행위를 했다”고 정계복귀를 강하게 비판했었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