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진중권의 상상] <21> 디지털 건축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진중권의 상상] <21> 디지털 건축

입력
2007.10.30 00:04
0 0

디지털 시대에 건축은 어떻게 변할까? 사실 물질성 없는 디지털과 물질성이 강한 건축은 서로 상반되는 경향이 있다. 철학자 헤겔이 건축을 예술의 위계에서 맨 아래에 배치한 것도 그 때문이다. 건축은 육중한 물질성 때문에 정신성을 표현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

하지만 디지털의 영향을 피해갈 수는 없다. 실제로 디지털은 건축의 무게조차 가볍게 만들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아마도 건축사무실에서 제도용구가 사라져 가는 것. CAD로 그린 건물의 3D 가상은 펜과 종이의 물질성을 증발시켜 버린다.

펜과 먹 없이 입력된 건축의 형태는 사이버 공간 안에서 ‘정보’라는 비물질로 존재하다가, 필요할 경우에는 물질의 옷을 입는다. 가령 프린터로 2D의 도면을 인쇄할 수도 있고, CNC 밀링이나 래피드 프로토타입으로 3D 모형을 출력할 수도 있다.

형(形)의 제작은 크게 관념적 구상(conception)과 물질적 실현(realization)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구상의 단계에서 디지털의 역할은 결정적이다. 컴퓨터는 손으로 하기 어려운 작업도 해내기 때문이다. 게다가 컴퓨터의 검색능력을 활용해, 이제까지 인간의 머리로는 미처 상상하지 못했던 형태를 찾아낼 수도 있다.

하지만 페이퍼 아키텍처가 아닌 한 건축은 결국 물질로 실현되어야 한다. 건축에서 디지털의 도전은 바로 이 지점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물질적 실현 단계에서도 디지털은 건축을 탈(脫)물질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디지털은 건물에 정신과 생명을 부여하여 그것을 일종의 가상으로 바꾸어 놓는다.

건축과 디지털의 만남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형태가 이른바 ‘인텔리전스 빌딩’이다. 여기서 건축은 물질성을 넘어 정신성을 갖게 된다. 정신(AI)을 갖춘 건축은 알아서 자신을 관리하기도 하고, 인간과 세계를 연결하는 미디어, 혹은 인간과 상호 작용하는 인터페이스가 되기도 한다.

컴퓨터를 매개로 건축이 로봇공학과 결합할 수도 있다. 가령 수십 년 전 미국의 컴퓨터학자 니클라스 네그로폰테는 가변적인 로봇 건축을 구상한 바 있다. 그가 MIT에 결성한 ‘아키텍처 머신 그룹’은 애완용 생쥐의 동선(動線)을 분석해 로봇팔로 우리의 블록을 다르게 배치해주는 컴퓨터 조절 환경을 만들어내는 실험을 했다.

이 실험이 성공한다면, 미래에는 거주자들의 행동과 습성을 분석해 가장 편리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로봇 건축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건축은 두뇌(AI)만이 아니라 사지까지 갖춘 인공생명이 된다. 미래의 인간은 더 이상 건물 '안에’ 거주하는 게 아니라, 건물과 ‘더불어’ 공생(synbios)하게 될 것이다.

디지털은 건축을 미디어로 바꾸어 놓는다. 우리는 이미 도심에서 건물의 벽이 거대한 스크린으로 변한 것을 본다. 그 위에서는 끊임없이 뉴스와 광고 영상이 흘러간다. 디지털로 대형출력이 가능해지면서 심지어 건축 공사장을 가리는 방진막 역시 거대한 캔버스로 변해 버린 지 오래다.

건축의 미디어화는 현실과 사이버공간의 차이를 지워버린다. 가령 서울 갤러리아 백화점의 인테리어를 디자인한 네덜란드의 건축가 벤 반 베르켈. 그가 지은 트리에날레의 네덜란드관(1996)은 디지털 건축의 대표적 예다. 이 건물의 전략은 디지털 가상을 현실의 공간으로 끌어오는 것이다.

사진을 보라. 일단 뫼비우스의 띠를 닮은 복도의 구조가 이미 초현실적이다. 그 벽면에 사이버공간의 느낌을 주는 영상을 투사하면, 현실의 공간은 물질성을 잃고 갑자기 디지털 가상으로 화하고, 그 덕분에 방문객들은 실은 현실의 구조물 속을 거닐면서 마치 사이버공간을 산책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된다.

여기서 현실과 가상은 하나로 뒤섞인다. 그로써 건축적 공간은 근대 이전으로 되돌아간다. 중세 성당의 내부는 현세의 공간(space)이자 동시에 신을 만나는 장소(place)이자, 세속(reality)과 초월(virtuality)이 하나로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간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디지털은 신이 없는 시대의 신학이다.

한국의 건축가 문훈 역시 현실과 가상을 넘나든다. 그의 작업은 성(性)스럽다. 그는 건축으로 성적 환타지를 표현한다. 건물을 여자로 간주하는 이 ‘엉덩이 건축가’(asschitect)는 그녀의 몸에 미니스커트를 두르고 망사 스타킹을 신긴다. 마광수 교수가 소설로 하는 그 일을, 그는 건축이라는 육중한 매체로 하는 셈이다.

헤겔의 장르 위계에서 건축은 밑바닥에, 문학은 꼭대기에 놓인다. 건축은 물질성의 극이요, 문학은 정신성의 극이다. 문훈이 건축으로 페티시즘을 연출할 때, 그의 건물은 문학에 가까워진다. 실제로 그는 건축의 전후에 종종 드로잉을 배치하여 건물로 하여금 제 ‘이야기’를 말하게 한다.

그가 경기도 양평에 지은 별장은 사면에 빨간 스커트를 두르고 있다. 바람이 불면 그녀는 야하게도 스커트 속을 슬쩍 내비친다. 거기에 사는 이의 말에 따르면, “소프트한 벽체의 펄럭임은 집이 살아있음을 환기”시켜 준단다. 벽체가 펄럭일 때, 그것은 물질성 없는 가상의 벽면에 가까워진다.

이제 건물은 땅에서 이륙하여 바다를 건너간다. 어디로 가는 걸까? ‘세컨 라이프’의 가상세계로 날아가는 중이라고 한다. 린든 달러로 그곳에 대지를 구입한 작가는 그곳에서 저 건물을 다시 분양할 생각이라고 한다. 그의 건축은 이렇게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무너뜨린다.

반 베르켈이 가상세계를 현실공간에 연출한다면, 문훈은 현실의 건물을 가상세계에 등록시킨다. 다음 단계는 뭘까? 아마도 건축이 완전히 사이버 공간으로 들어가는 버리는 것일 게다. 실제로 마르코스 노박과 같은 건축가는 오로지 사이버 공간에서만 작업을 한다. 이제 건축은 현실에서 철수한다.

사이버 건축은 중력과 같은 물리법칙의 속박에서 풀려난다. 경제적 고려와 실용적 기능의 압박에서도 자유롭다. 그곳에서 건축은 순수한 환상의 표현이 된다. “형태는 기능에서 나온다.”고? 사이버 건축은 이 모더니즘의 강령을 이렇게 수정한다. “형태는 상상에서 나온다.”

■ 마르코스 노박의 '액체건축'/ 소통·이동·변신 가능… 가상공간 '꿈의 건축'

"사이버 공간은 건축이며, 건축을 갖고 있으며, 건축을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건축의 선언으로 통하는 마르코스 노박의 <사이버공간의 액체 건축> (1991)에 나오는 구절이다. 사이버공간은 그 자체가 도시건축이며, 그것의 구축원리가 건축적이며, 그 안에는 건물들을 담고 있다는 얘기다.

노박은 사이버 건축을 '액체 건축'이라 부른다. 견고하게 고정된(solid) 현실의 건축과 달리, 사이버 건축은 유저와 인터랙티비티를 하는 가운데 시간 축을 따라 모습을 바꾸어 간다. 시간의 도입과 더불어 사이버 건축은 공간화한 음악이 된다.

'액체'(liquid)라는 말을 그는 "애니미즘, 애니메이션, 형태변환"으로 이해한다. 사이버 건축은 살아서 유저와 소통을 하고(애니미즘), 시간 축을 따라 장소를 이동하며(애니메이션), 모습을 마음대로 바꿀 수도 있다(형태변환). 현실의 건물은 어떤가? 그것은 죽어 있고, 움직이지 않고, 형태도 고정되어 있다.

꽃과 대화하고, 돌이 살아 움직이는 것을 느끼고, 여인의 눈을 잔잔한 호수로 변형시키는 것이 바로 시인의 능력이다. 이 때문에 사이버 건축은 시가 된다. 이 때문에 마르코스 노박은 사이버 공간을 '상상력의(of) 거주지', '상상력을 위한(for) 거주지'로 규정한다.

사이버 공간에는 물리적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문훈의 건물이 중력을 이기고 하늘을 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곳은 순수한 거기서는 유클리드의 기하학도 적용되지 않는다. 사진을 보라. 저것은 표상할 수는 없으나 계산할 수는 있는 4차원의 구조물을 표현한 것이다.

가상에만 존재하는 건축이 무슨 소용이 있냐고? 지어질 수 없는 건물이 종종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는 법이다. 게다가 인간 삶의 점점 더 많은 부분이 이미 사이버공간으로 이주하고 있지 않은가. 그러다 보면 사이버공간의 디자인이 언젠가는 오프라인의 건축보다 중요해지지 않을까?

문화평론가ㆍ중앙대 겸임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