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대선후보 경선이 권영길ㆍ심상정 후보의 결선투표로 최종 판가름 나게 됐다. 대통령선거 출마 경력이 있는 권 후보의 저력도 눈에 띄지만, 경선전이 시작될 때만 해도 2위 득표는 물론 결선투표까지 오르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던 심 후보의 막판 끈기가 참 놀랍다.
민노당 후보경선은 현실정치에 미치는 구체적 영향력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그 동안 그리 눈길을 끌지 못했다. 그러나 결선투표라는 극적 결과를 낳기까지 후보경선 과정에서 정치학 교과서에 나와도 될 만한 정당정치의 참모습을 보여 주었고, 그것이 뒤늦게 국민의 흥미와 관심을 자극하고 있다.
민노당 후보경선은 단순히 정치적 흥미만 자극한 게 아니다. 다른 어떤 정당도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경선의 참뜻을 살렸다는 점에서 한국정치사에 진한 점 하나를 찍었다.
우선 한나라당이 이미 겪었고, 대통합민주신당은 아직도 진통이 다 가시지 않은 경선규칙 실랑이 등 잡음이 전혀 없었다. 경선 규칙은 원칙적으로 당헌ㆍ당규에 정해진 대로 따르면 그만인데도, 그 동안 주요 정당은 선거 때마다 선거법을 바꾸듯 경선 때마다 예비주자들의 면면에 따라 규칙을 고쳐왔다.
이 문제는 경선 유권자의 자격 문제와도 직결된다. 민노당 경선에서는 '국민 선거인단'이나 여론조사가 힘을 쓰지 못한다. 오직 당원만이 투표권을 가진다.
그것도 다른 정당이 경선을 앞두고 지지자들을 집단으로 끌어들여 급조한 '임시 당원'이나 같은 수법으로 만들어진 이름만의 '국민 선거인단'이 아니라 3개월 이상 당비를 자진 납부한 실적이 있는 '진성 당원'에만 의존한다.
정당은 국민 앞에 책임을 지기에 앞서 당원 앞에 책임을 진다는 정당정치의 원래 모습에 충실한 방식으로, 정당 스스로 정당정치를 부인하는 현재의 유행과는 거리가 멀다.
한 표라도 더 많이 얻은 사람을 당선시키다 보니 36.6%의 득표로 대통령이 된 사람도 있었던 우리 정치 현실에서는 결선투표가 시사하는 바도 크다. 최대한 사표(死票)를 막고, 국민의 정치참여 의식을 끌어올릴 수 있는 좋은 대안의 하나가 될 만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