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의 정문(正門)인 광화문의 정확한 위치와 규모가 발굴조사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6일 ‘경복궁 광화문 및 기타권역 복원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광화문 터 전체 면적의 3분의 2인 동서 34.8m, 남북 10.2m의 유구(遺構)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임진왜란 때 소실됐다 고종 2년(1865년) 중건된 원(元) 광화문은 1968년 박정희 정권이 복원한 구(舊) 광화문에서 남쪽으로 11.2m, 서쪽으로 13.5m 떨어진 지점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으며, 구 광화문이 경복궁 축에서 3.75도 틀어져 있었던 것과 달리 경복궁 축과 정확히 일치했다. 일제 시대 지적 등을 토대로 추정됐던 위치보다 남서 각각 3m가량 가까운 곳에서 유구가 발견됐으며, 경복궁 축에서 틀어진 각도도 추정치(5.6도)보다 작았다.
광화문은 장방형의 돌을 쌓아 만든 육축(陸築)에 3개의 무지개문(홍예문ㆍ虹霓門)을 두고 그 위에 문루(門樓)를 씌웠는데, 이는 조선시대 궁궐 중 유일한 삼홍예문이다. 왕이 출입하던 중앙문은 너비 5m로 가장 넓고, 문관이 출입하던 동문과 무관이 출입하던 서문은 각각 3.5m의 동일한 너비로 확인됐다.
광화문의 월대(문에서부터 이어져 남쪽으로 펼쳐지는 문 앞 공간)와 광화문의 동서로 연결되는 경복궁 궁장(궁궐의 담장)의 위치와 규모도 처음 확인됐다.
월대는 동서 29.7m, 남북 8.3m가 발견됐는데, 전체 남북 길이가 52m로 추정되는 것을 감안할 때 세종로 지하에 43.7m가 더 묻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월대 양끝 난간에 있던 동자석들은 유실됐으나, 중앙 부분에는 임금이 지나다니던 어도(御道)의 흔적이 폭 5.2m로 발견됐다.
동서로 각각 동십자각, 서십자각과 이어지는 궁장은 전체 410m 길이일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중 서편 궁장 5.7m, 동편 궁장 8m가 3.3~4.1m의 너비로 확인됐다.
박선영 기자 aurevoi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