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선 강원지사의 ‘평창 동계올림픽’ 세 번째 도전 선언은 아무래도 훌륭한 결정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두 달 전 과테말라에서 뼈아픈 역전패를 당한 실망감과 아쉬움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실패에 대한 반성과 검토, ‘3수(修)’의 필요성ㆍ타당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서둘러 세 번째 도전을 선언한 중요한 이유가 국내외 스포츠계에서의 선점효과를 노린 것이라면 더욱 미덥지 못하다.
선점효과는 우선 국내 경쟁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부산이 2020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추진하고, 전남ㆍ광주가 201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제주가 2017년 동아시아경기대회 를 준비하고 있어 ‘비슷한 시기에 국제경기가 너무 많다’는 여론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국제적으로는 2018년의 경쟁국인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지만, 2003년 첫 도전 당시 한 달도 안돼 국무총리와 문화ㆍ외교 장관 등 100여명으로 유치위원회를 발족하며 ‘선점’을 극대화했지만 결국 실패했었다.
이번 결정이 김 지사와 유치위원회ㆍ체육회 관계자 중심으로 폐쇄적으로 이뤄진 점도 문제다. 이미 강원도내의 42개 시민사회단체 모임(연대회의)이 의견 수렴이 부족했다며 철회를 요구했다.
주민들이 실패에 대한 평가와 검증, 유치추진 과정에 대한 기본정보 공개 등을 요구했으나 외면한 것은 한마음으로 성원해온 사람들을 실망시키는 일이다. 앞으로 반대의견을 충분히 감안하겠다지만 선언 후의 검토와 감안은 앞뒤가 바뀌었다.
동계올림픽 개최는 한 도시의 문제일 수 없다. 우리 여건에서는 거국적 행사가 되지 않을 수 없다. 강원도민 의견 못지않게 국민적 공감대를 재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러시아의 소치에 투표에서 패한 원인만 보완하면 4년 후 이길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은 4년 전 프라하의 실패를 교훈으로 삼지 못한 것과 똑 같다. 더 깊이 살펴봐야 한다. 의지와 열망을 앞세워 여론몰이를 할 게 아니라 주민과 국민의 뜻을 헤아려 정교한 검토와 전망을 해야 한다. 이 점은 국제 스포츠행사를 유치하려는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