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과 열린우리당이 10일 합당을 선언함으로써 분열과 통합을 반복하던 범여권 통합 논의가 일단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다.
당장 원내 143석의 거대 정당의 출현으로 한나라당이 독주하던 대선 구도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하지만 '도로 열린우리당'이라는 비판이 적지 않고 통합민주당의 결합, 대선후보 경선 흥행 등 난제도 산적해 있다.
양당의 합당은 무엇보다 반(反) 한나라당 진영의 본령이 형성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 민주당의 불참으로 아직은 미완의 대통합이지만, 범 여권과 한나라당의 명실상부한 양강 구도를 현실화한 것이다.
물론 전체 의석 143석 가운데 민주당 출신 5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우리당 출신이란 점에서 '도로 우리당'이란 비판을 피하긴 어렵다. 하지만 시민사회진영이 50%의 지분으로 참여했고 손학규 전 경기지사 등이 참여한 것은 일정한 '물갈이'로 볼 수 있다.
우리 정치사에서 실험적 모델이었던 우리당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점도 나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정치ㆍ정당개혁과 지역구도 타파라는 명분을 선점했을지라도 민심을 보듬지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상식이 새삼 확인됐기 때문이다.
어렵사리 합당이 이뤄졌지만, 이후 상황을 낙관하기는 어렵다. 무엇보다 '반쪽 대통합', '도로 우리당'이라는 비판여론을 헤쳐가기가 쉽지 않을 듯하다. 이는 신당 창준위 단계에서부터 구시대 정치인의 부활이라는 비난에 직면하는 등 대통합 작업이 국민적 감동을 불러오지 못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친노 진영 전체가 신당에 합류하게 된 것도 갈등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김한길ㆍ강봉균 의원 등 중도신당파 의원 26명이 "친노 본류가 아무런 반성 없이 합류한다면 대국민 사기극으로 비칠 것"이라고 반발한 게 단적인 예다. '친노 대 비노ㆍ반노'의 대립구도가 신당에서도 계속될 것임을 예상케 하는 대목이다.
이 같은 대립은 우리당과의 선(先) 통합으로 민주당의 합류가 사실상 불가능해진 점, 친노 대선주자들의 요구에 따라 우리당이 신당의 당직 50%를 보장 받은 점 등으로 인해 더욱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다 보니 민주신당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대선주자 경선도 흥행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친노 대 비노ㆍ반노의 대립이 지속되고 민주당이 합류하지 않을 경우 범 여권의 주류가 우리당으로 존재하던 때와 차이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