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 무장 단체가 요구하고 있는 대면 협상이 과연 가능할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와 무장 단체는 현재 대면 협상을 위한 장소 시기 방법 의제 등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장 단체는 유엔의 안전보장을 전제로 제3국에서 대면 협상을 하거나 자신의 관할 지역에서 하되 협상 당사자로 강성주 주 아프가니스탄 대사 등 한국 정부를 대표하는 인물이 나오기를 고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탈레반은 이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정체(政體)를 인정받고 싶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엔의 안전 보장은 국제사회가 탈레반을 테러 집단이 아닌 교전 단체(국제법상 교전자로서 자격을 인정받는 반란 단체)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권 재탈환 목표를 가지고 있는 탈레반으로서는 국제사회에서의 지위 격상은 일부 동료의 석방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무장 단체의 의도를 잘 알고 있는 정부로서는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유엔은 “당장 입장을 밝힐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고, 강 대사가 나서는 것도 외교적 부담을 고려하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 소식통은 “강 대사가 한국 정부를 대표하는 사람임을 누구나 아는 상황에서 협상의 전면에 나설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렇다고 정부가 무장 단체와의 대면 협상을 거부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대면 협상은 현재로선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고, 무장 단체가 요구 수준을 낮추는 과정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대면 협상을 하더라도 가급적 중개인을 두고, 비밀리에 접촉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개인으로는 적신월사(이슬람권의 적십자) 등 현지의 저명한 비정부기구(NGO)를 고려하고 있다는 관측도 있다.
그러나 무장 단체가 이런 방식의 대면 협상은 수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당장 협상이 이뤄지더라도 무장 단체가 인질_탈레반 수감자 맞교환을 계속 고집할 경우 시간 끌기 이상의 효과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때문에 정부는 무장 단체와의 충분한 사전 접촉을 통해 서로 일정 정도의 화학반응이 일어났을 때 대면 협상에 나서겠다는 복안이지만 무장 단체가 언제까지 기다려줄지 장담하기 어렵다는 것이 정부의 딜레마다.
신재연 기자 poet333@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