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이 대통합신당 창당 작업에 속도를 내면서 막후에서 정파간 주도권 다툼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파간 지분 나누기와 구태 정치인의 부활에 대한 비판과 우려도 상당하다.
주도권 다툼의 백미(白眉)는 시도당위원장 인선이다. 대선후보 경선과 18대 총선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요 포스트이기 때문이다.
26일 창당대회를 개최한 서울시당의 경우 열린우리당 탈당파와 통합민주당 대통합파가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당대당 통합을 준비중인 우리당은 송영길 전 사무총장과 홍재형 전 최고위원을 지난 24일 탈당시켜 각각 인천시당과 충북도당을 사실상 접수한 상태다.
텃밭격인 호남에서의 지분 싸움은 점입가경이다. 정균환 창준위공동위원장이 맡을 것으로 알려졌던 전북도당위원장직은 타 정파의 항의로 27일 창당대회 당일에야 판가름나게 됐다.
광주시당에선 정치권과 시민사회 내부의 갈등 탓에 창준위원장이 4명이나 선임된다. 전남도당은 손학규 전 경기지사측이 중앙당 창준위원장 자리를 포기한 대가로 요구한 김효석 의원 단일체제로 굳어지고 있다.
부산시당의 경우 손 전 지사측이 유일한 지역구 의원이란 점을 들어 조경태 의원을 밀고 있지만 타 정파의 반발이 거세다. 대전ㆍ충남은 우리당 소속인 이해찬 전 총리측과의 이견 으로 창준위원장조차 선임하지 못한 상태다.
공동창준위 발족 이틀만에 중앙위원회 규모를 300명에서 400명으로 늘린 것도 정파간 이해다툼의 결과이다. 중앙위 보고자료에는 "각 정파별 추천 증가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히고 있다. 실제로 이날 중앙위에선 손 전 지사측 인사 56명이 추가로 선임됐다.
실무자 배치 문제도 마찬가지다. 공동창준위에 결합한 4개 정파가 8명씩 파견키로 했지만, 한 정파가 10명을 파견한 것 때문에 25일 중앙당 창당 실무회의가 무산됐다.
정대철 공동 상임창준위원장이 정치권 몫의 신당 공동대표로 내정된 것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한 386의원은 "'뇌물수수당'을 만들자는 거냐"며 "창준위까지는 모르겠지만 당 대표는 절대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