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의 화두였던 '제3지대 신당'이 모습을 드러냈다. 어제 발족한 '미래창조대통합민주신당'(가칭)이라는 긴 이름의 신당 공동창당준비위가 그것이다.
여기에는 열린우리당과 통합민주당 탈당파, 한나라당을 탈당한 손학규 전 경기지사측 등 범여 성향의 여러 정파와 정치세력화를 모색해온 시민사회 진영이 참여했다. 범여성향의 정치권과 시민사회진영이 1대 1의 공동지분으로 참여하는 형식이다.
현역 의원만 64명인 제3지대 신당은 내달 5일 예정대로 공식 출범하면 58석으로 쪼그라든 열린우리당을 제치고 단박에 원내 2당의 지위를 획득한다. 통합민주당적을 보유한 채 참여한 김한길 의원 등 20명과 김홍일 의원이 추가 탈당해 합류하면 85석이나 된다.
여기에 호남지역의 지방자치단체장들도 대거 참여할 예정이어서 규모로는 만만치 않은 정치세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평화민주개혁세력의 대통합으로 정권 재창출을 이뤄내겠다는 범여권의 토대가 구축되는 것이어서 대선구도의 변화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제3지대 신당이 "어떤 기득권도 없는 제3지대에서 선진대한민국으로 가는 융합의 에너지를 창조하는 대통합의 용광로가 되겠다"는 결성선언문의 다짐대로 국민적 지지와 관심을 이끌어낼 정치세력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들의 움직임은 일반 국민의 눈에는 지리멸렬한 범여권의 어지러운 이합집산으로 비친다. 공동의 비전과 원칙, 정치적 신념보다는 대선을 앞두고 급조되는 가건물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신당창당 움직임에는 기존 범여 정치세력 외에 시민사회진영이 상당한 조직규모를 갖춰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의 정치성을 상당수 국민들이 식상해 하는 현실에서 이들의 참여가 정치소비자들을 끌어당기는 신선한 정치상품을 만들어 내는 데 기여한다고 보장하기는 어렵다.
특히 열린우리당 탈당파가 주축인데 참여정부와 열린우리당이 떠안아야 할 책임에서 신당이 자유로울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제3지대 신당의 규모에 주목하면서도 회의적 시선을 거둘 수 없는 이유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