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토론회라고 하기에는 전반적으로 정책에 관한 구체적인 검증과 논의가 턱없이 부족하였다. 물론 그간의 정책토론회를 마무리하는 종합 토론회 성격을 가진 자리라 각 후보들이 집권비전이나 국정운영 철학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만한 명확한 청사진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각 후보들이 내건 캐치프레이즈는 유권자들의 표심을 의식한, 그저 그럴듯한 '정치적 수사'로 간주될 수밖에 없다.
한반도 대운하를 둘러싼 후보간 정책 공방에서도 아쉬운 점이 드러났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환경 파괴와 식수원 오염의 위험성과 경제적 편익 그리고 재원조달 문제 등을 조목조목 들어가며 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집중 공격했으나 이 전 시장의 대답은 2004년 발간된 유럽연합(EU) 교통백서나 2006년 수자원공사의 대체 수자원 확보에 관한 보고서 등을 소개하는 정도에 그쳤다.
더 이상의 본격적인 논의는 시간적으로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 전 시장의 '747 공약'(7% 성장률, 4만 달러 국민소득, 세계 7대 강국)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묻는 박 전 대표의 질문에도 이 전 시장은 "그것은 목표이고 의지일뿐"이라고 대답했다. 이 후보의 '신혼부부에게 아파트 제공' 공약도 명확한 실천 방안의 제시 없이 그냥 지나갔다.
이 전 시장이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하겠느냐?"고 물었으나 박 전 대표는 "수질이 개선되고 있다"고만 말해 더이상 진전을 보지 못했다. 시청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론은 없는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교육 문제에서는 이 후보가 박 후보를 향해 고교평준화 관련 질문을 던졌으나 공약집에 나와 있는 박 후보의 공약과 토론회에서의 대답이 다른 것으로 받아들이는 정도로 논의를 종결했다.
이 밖에도 각 후보들은 '5년 내 선진국 달성' '팍스코리아나', '세계7대 대국' '행복공동체' 등을 내세우며 자신이 건설할 희망의 미래상을 제시했지만 원희룡 후보의 말 대로 "정책은 없고 흠집만 난무한" 그리고 정책을 제대로 논의하기에는 시간이 턱없이 부족한 토론회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