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 8개국(G8)이 지난 주말 독일 하일리겐담에서 끝난 정상회담에서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공동 대처하는 데 한 걸음 진전을 이뤘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교토의정서 비준을 거부하던 미국이 12월 유엔 기후변화 회의의 새로운 국제협약 논의에 참여하겠다고 약속한 것이다.
오랜 비판을 모면하기 위한 제스처로 볼 수도 있지만, 지구 온난화에 누구보다 책임이 크다는 국제사회의 인식을 뒤늦게나마 수용한 의미가 있다.
미국은 1997년 교토의정서에 서명하면서 다른 38개국과 더불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7% 줄이기로 합의했다. 유럽연합(EU)은 8%, 일본 캐나나는 6%를 감축하도록 돼 있다.
이 교토의정서는 55개국이 비준, 2005년 2월 발효됐다. 그러나 전세계 배출량의 28%를 차지하는 미국은 국내산업의 비용부담 등 이기적 고려에 얽매여 비준을 거부, 기후변화에 인류가 함께 대처하는 것을 가로막았다.
특히 부시 행정부는 지구 온난화가 화석연료 과소비 등 인간의 책임이라는 사실조차 부인했다. 이번 합의는 이런 독선을 벗어나 국제사회의 양식에 다가선 것으로 볼 만하다.
미국의 변화는 미국사회에서도 지구 온난화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 뉴욕 등 500여 도시가 온실가스 감축조례를 채택했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 등 에너지 절약 연구도 활발하다.
이와 함께 미국이 비판의 방향을 돌리기 위해 애써 부각시킨 중국 인도 등이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하고 있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획기적 진전은 어렵겠지만, 국제사회가 함께 애쓰는 모습은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정작 핵심 쟁점이었던 미-러 미사일방어망(MD) 갈등과 아프리카 빈곤대책, 세계화 문제 등에서는 위선과 탐욕을 확인시켰을 뿐이라는 평가다.
이런 비판조차 새삼스럽지만, 이번 G8 정상회담도 선진국들의 이기적 다툼을 성장과 안보, 정의와 인권 등의 고상한 명분으로 가리기 위한 연례행사에 그친 셈이다. 격렬한 반대시위도 이를 바꾸지 못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