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은 북핵 2ㆍ13 합의 이행이 지연되고 있는 것과 관련, “북한이 예를 들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요원들을 초청해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면 감시를 어떻게 할 지 등을 협의하는 제스처를 취하는 게 좋다”고 제안했다.
김 전 대통령은 지난 7일 동교동 자택에서 가진 6ㆍ15 남북 공동선언 7주년 및 한국일보 창간 53주년 기념 인터뷰를 통해 “BDA 문제가 꼬인 데에는 미국의 책임도 있지만 북한도 미국 내 여론이 악화하지 않도록 성의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인터뷰 과정에서 특별히 “한국일보를 통해 북한에 제안하고 싶다”고 강조, 현 상황에서 미국 내 온건파의 입지를 살릴 수 있는 북한의 유연한 자세가 문제 해결의 열쇠임을 분명히 했다.
김 전 대통령은 21차 남북 장관급회담에서 우리 정부가 사실상 대북 쌀 지원과 북핵 문제를 연계한 데 대해 “인도적 지원 문제를 6자회담에 연계시키면 우리 내부 문제를 대외에 종속시키는 결과가 된다”며 “아주 심각한 문제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남북관계는 남북관계대로 있다”고 전제한 뒤 “긴장완화를 위한 조치나 경협사업은 6자회담과 관계없는 일”이라며 “북핵 문제 해결 같은 것은 미국이나 우방국과 긴밀히 협조해야 하며 이 두 가지는 양립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여야 대선주자들을 향해 “누구에게 어떻게 하라는 건 아니지만 햇볕정책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며 “안 그러면 냉전 속에서 전쟁의 악몽에 시달려야 하는데 그걸 지지하는 국민이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최근의 ‘훈수정치’ 논란과 관련, 김 전 대통령은 “나는 여권의 50년 역사에서 30여년간 당 지도부 역할을 했는데 내가 전생을 다 바쳐 봉사한 당과 세력이 사분오열돼 어느 바닥이 누군지 모르게 됐다”며 “이런 상황을 국민과 지지자들이 걱정하고 있으니 하나로 뭉쳐서 1대1로 경쟁하는 구도를 만들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