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정부 부처 관계자와의 접촉을 사실상 차단하는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이 도입되면 정보를 거의 전적으로 정부 브리핑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참여정부가 공평한 정보공유를 명분으로 2003년 9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개방형 브리핑은 일방적 홍보 형태인 데다 깊이 있는 정보도 부족해 부실하기 짝이 없다.
실제로 세종로 정부중앙청사나 정부과천청사의 상당수 출입 기자들은 브리핑에 불참하기 일쑤다. 브리핑이 보도자료를 읽는 수준인 데다 질의ㆍ응답 때 정부 당국자들이 핵심을 피하는 데만 급급하기 때문이다.
2월 KBS 미디어포커스는 한 연구논문을 인용, 정부 부처 출입기자 10명 중 8명 가량이 개방형 브리핑제의 폐지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행정자치부가 1월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발표했을 당시 행자부는 조간신문 마감시간이 임박한 오후 3시 브리핑을 실시했으나 보도자료 내용이 불충분하고, 보험급여율 산정 기준을 이중 표기해 혼란을 야기했다.
더구나 개혁안이 당초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안보다 크게 후퇴했다는 핵심적인 사실은 숨겼다. 입맛에 맞는 정보만 언론에 전달하려는 의도가 드러나자 기자들은 분통을 터뜨렸다.
공평한 정보공유라는 브리핑 명분이 무색하게 민감한 사안은 특정 언론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호철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은 안희정씨 대북 비선접촉 지시 논란이 불거졌을 때 입장 표명을 거부하다 사실을 밝혀야 할 필요가 있는 단계가 되자 일부 언론에 이를 흘렸다. 그는 특정 언론 보도 후 사실 확인차 연락을 취했던 다수 언론과는 접촉조차 하지 않았다.
정진황 기자 jhchu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