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수의대 이병천 교수의 늑대복제 진위 파문은 27일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의 조사결과, ‘진짜 복제’로 결론났다. 하지만 연구진실성이라는 대의 충족에는 실패한 검증이라는 지적이다.
서울대 국양 연구처장은 조사결과를 발표하며 염기서열 번호를 논문에 잘못 기재한 것을 ‘초보적 실수’로 규정한 뒤 “잘못된 연구결과를 홍보·발표한 것은 윤리 위반”이라고 밝혔다. 경북대 하지홍 교수의 논문 미인용에 대해선 관행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브릭(생물학연구정보센터) 등에서는 여전히 “기재 자체는 실수라도 애초에 DNA 분석에서 증폭되지 않는 부분인데 어떻게 이 부분을 분석했다는 건지 이해할 수 없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애초 연구처는 “서울대 연구성과는 모두 서울대에서 발표하겠다”는 홍보 의지를 다지며 이 교수의 연구논문 부풀리기에 앞장섰다. 논문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자 연구진실위는 먼저 DNA 검사에 착수했고 실험노트 작성에 대한 중요성은 뒷전으로 젖혀두었다. 또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복제는 진짜고 논문오류는 실수이며 레퍼런스 미인용은 관행”이라고 규정해 실수와 관행을 용인하게끔 만들고 있다. 연구진실위가 실수의 원인으로 진단한 ‘허술한 자료관리와 논문작성 능력부족’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궁금하다.
줄기세포 논문사태에서 우리 과학계가 깨달은 교훈은 과학 연구의 성과가 “어떻게 든 만들면 된다”는 의지만으로 얻어낼 수 없다는 사실이다. 재현 가능한 실험, 확고한 이론, 그리고 때로 창의적 발상이 과학의 진보를 이끌어낸다. 이렇게 지난한 연구 과정이 잘못 흘러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게 진실성 규제다.
김희원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