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대선을 8개월여(240일) 앞둔 23일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다. 선거법상의 공식적인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범여권의 정계개편이 아직 태동 단계인데다 한나라당 주자들도 지지부진한 당내 경선 협상의 늪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어 각 주자 들의 후보등록 시점은 상당한 편차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거법상 예비후보로 등록하면 제한적이나마 선거운동이 가능하다. 우선 베이스캠프 격인 선거사무소를 설치해 10인 이내의 유급 사무원을 둘 수 있다.
홍보의 빗장도 풀린다. 사무소에는 간판과 현판, 현수막을 각 1개씩 설치할 수 있고, 자신을 소개하는 명함을 거리 등에서 배부하는 것도 본인과 배우자를 포함해 세 사람까지 할 수 있다.
후보자 등록 개시일 하루 전인 11월 25일까지 16면 이내의 홍보물을 20,000매 까지 제작해 한 차례 자신이 원하는 가구에 우편으로 발송할 수 있다.
모든 유권자에게 이메일을 보내 자신을 알려도 된다. 그러나 전화를 이용한 선거운동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대량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발송은 금지된다.
하지만 23일부터 주자들이 예비후보 등록에 나설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예비후보가 되면 가능한 선거운동의 범위가 넓지 않은 반면 회계처리 등 모든 움직임이 감시리스트에 올라가기 때문이다.
그나마 한나라당은 범 여권보다 적극적인 편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일단 4ㆍ25 재보선 이후로 등록을 미뤘다.
선거캠프인‘안국포럼’의 여의도 입성이 마무리되는 27일께 사무실 개소식과 함께 후보등록과 출마선언까지 패키지로 하는 방안도 저울질 하고 있다.
캠프에선 23일 후보등록을 해‘대세론’을 밀어붙이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재보선에 전력투구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 등록을 미뤘다고 한다.
박근혜 전 대표도 당내 경선후보 등록에 맞춰 5월 초쯤 예비후보로 등록할 방침이다. 경선 협상조차 마무리 되지 않은데다, 이 전 시장을 추격하는 입장에서 서둘러 등록해 운신의 폭을 좁힐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범 여권은 상황이 전혀 다르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은 독자세력화에 주력하면서 대선 일정에는 무관심한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근태ㆍ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한명숙 전 총리 등은 ‘열린우리당 후보’로 등록하는 데 대한 부담이 큰 탓인지 어느 진영도 명확한 일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민생모임의 천정배 의원도 당분간 김 전 의장측과 함께 범 여권 내 진보블럭 형성에 매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민주노동당의 경우 23일 심상정 의원을 시작으로 권영길 의원단대표와 노회찬 의원 등 예비후보 3인이 모두 이달 안에 등록을 마칠 예정이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