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동차의 품질 수준이 뒷걸음질 하고 있는 것일까. 올해 들어 현재까지 차량 결함에 따른 무상수리 규모가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15일 건설교통부와 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올해 국내 완성차 업체가 차량 결함을 이유로 자진해서 무상수리를 결정한 규모가 전년 같은 기간(17만6,907대)보다 3배 가량 많은 51만4,292대로 집계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품질 관리가 지금보다 미흡했던 시절 제작된 차량에 대한 무상수리가 급증하는 바람에 나타난 일종의 착시 현상이며, 국내 자동차의 품질 수준은 매년 높아지고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현대차의 구형 싼타페 디젤은 무상수리 대상이 19만대를 넘어서지만, 차량 안전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고압 펌프의 연료 비침 현상에 관련한 것이다. 또 13만대에 달하는 차량이 점검을 받게 된 GM대우 레조LPG 차량도 1999~2004년 생산 차량에서 일부 냉각수가 누출된다는 지적 때문에 취해졌다.
안전 운행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취해지는 ‘리콜’이 줄어든 것도 국산차의 품질이 해마다 개선되고 있다는 증거다. 건교부는 올해 들어 2개 완성차 업체의 3개 차종, 2만2,476대에 대해 리콜 조치를 취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만6,336대)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국내 완성차 업체 가운데 리콜 조치가 취해진 업체는 GM대우와 기아자동차 두 곳이었다. GM대우는 건교부 조치에 따라 윈스톰 1만3,893대와 라세티 628대에 대해 1월부터 전국의 고객센터에서 무상수리를 벌이고 있다. 윈스톰은 지난해 말까지 생산된 일부 차종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반복해서 작동하면 브레이크부스터 연결핀이 빠지는 결함이 발견됐으며, 라세티는 엔진룸 전장부품의 배선이 간혹 고장을 일으켜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높아 리콜이 취해졌다.
기아차 봉고3에서는 최대 적재량을 초과해 운행할 경우 앞바퀴 너클암이 손상돼 방향 조정이 어려워질 수 있는 결함이 발견돼 이 달 9일부터 무상수리 조치에 들어갔다.
한편 국내 완성차의 리콜이 감소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수입차의 리콜은 급증했다. 올해 15일 현재 리콜 조치가 취해진 수입차는 6,301대로 전체 리콜 규모의 21.8%에 달한다.
수입차 업체 가운데서는 일본 혼다의 리콜이 가장 많았다. 혼다는 이 회사의 어코드 모델에서 조향 장치 오일 누출 결함 가능성이 발견돼 2003년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제작ㆍ수입된 4,261대에 대해 무상수리를 벌이고 있다.
폭스바겐 파사트도 와이퍼 모터와 연료냉각 호스의 불량을 이유로 2005년부터 지난해 8월 중 제작ㆍ수입된 1,223대에 대해 리콜 조치를 취했다. 인피니티(FX35ㆍFX45)와 볼보(S60ㆍS80ㆍXC90)도 전조등과 라디에이터의 냉각팬 모터 불량 때문에 이미 판매된 차량에 대한 무상수리 작업을 벌이고 있다.
조철환 기자 chc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