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중반 이후 개정된 중국 대학 역사 교재들이 고구려ㆍ발해 등 한국 고대사를 동북공정 시각으로 왜곡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2004년 중국이 “교과서에서 고구려사를 왜곡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것을 믿고 중ㆍ고교에 치우쳤던 교과서 감시 범위를 대학으로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서 <중국 역사 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를 펴냈다. 중국>
김현숙 연구위원은 14종의 중국 대학 교재 신ㆍ구판을 분석하면서 고조선 및 삼국시대 관련 서술의 변화를 추적했다. 일례로 <세계통사> 는 97년 증보판에서 ▦한국사의 공간범위를 한반도로 한정하고 ▦고구려를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규정하며 ▦당이 단독으로 고구려를 정벌했다고 기술하는 등 동북공정 논리를 전면에 드러냈다. 세계통사>
가장 많이 쓰이는 교재 중 하나인 <중국고대사> 도 2004년 개정판에서 부여ㆍ고구려를 중국사로 분류하면서 고구려 시조 주몽이 중국 민족의 일원인 ‘고이족’이란 내용 등을 새로 넣었다. 김 위원은 또 왜가 가야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이 여과 없이 인용돼 있는 점도 지적했다. 중국고대사>
발해 관련 내용을 살핀 김은국 연구위원은 ▦단원명 자체를 ‘말갈과 발해국’이라고 쓰는 등 발해 건국 주체를 말갈족으로 상정하고 ▦대조영의 건국 원인을 고구려 유민의 부흥운동보다는 당에 대한 거란족의 반란에서 찾으며 ▦발해의 발전에서 유독 당 문화의 영향력을 강조하는 등의 왜곡 사례를 지적한다. 김 위원은 “아직 살피지 못한 교재가 많은 만큼 연구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훈성 기자 hs0213@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