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개발되는 신도시는 용적률은 올리고 건폐율은 낮춰 가늘고 높은 건축물이 지어지는 ‘마천루(고밀 압축형 도시)’식으로 조성될 전망이다. 대신 늘어난 여유 면적에는 공원 녹지 하천 등 자연친화 공간으로 활용된다.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는 건설교통부 용역을 의뢰 받아 1년여의 연구 끝에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친환경 압축형 신도시 개발방안’ 최종 연구보고서를 마련, 건교부에 제출했다고 27일 밝혔다. 건교부는 이번 보고서를 토대로 정부안을 확정, 내년 상반기 중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신도시 계획기준’을 개정해 시행할 방침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3만명의 신도시를 기준으로 건물 용적률(땅 면적 대비 건축 연면적 비율)이 주거용은 250%, 주상복합은 600%까지 허용된다. 개발밀도도 현행 ㏊당 150명에서 300명으로 늘리도록 했다. 건축물 외관은 일조권과 통풍권 확보에 유리하도록 성냥갑 같은 ‘판상형’보다는 날씬한 ‘탑상형’으로 유도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동(棟)간 거리가 넓어지고, 공원이나 녹지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유공간도 그만큼 늘어난다.
고밀도 개발에 따른 주거 쾌적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도시내 주거ㆍ상업용지 개발면적을 최소화하고, 층고를 높이는 대신 건폐율(땅 면적 대비 바닥 건축면적 비율)은 낮추는 등 환경을 고려한 고밀 ‘압축형 도시’(Compact City)로 개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줄어드는 개발면적은 공원 녹지, 공공시설 용지로 확보해 굳이 자동차가 아니더라도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한 이동성을 확보토록 할 방침이다.
실제 이 방안으로 분당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공원 광장 하천 등 개방면적은 지금보다 21.3%가 증가하고, 주거 및 도로용지는 각각 10.6%, 9.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 관계자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신도시 건설은 양적 공급에만 치중해왔지만 앞으로는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압축형 도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2020년까지 수도권내 매년 380만평의 도시용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토지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신도시 계획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태훤 기자 besam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