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밥값·술값 활동비만 月2,000만~5,000만원
대선주자와 그의 핵심 참모들이 매달 최소한도로 써야 하는 돈은 7,000만~1억 4,000만원에 이를 것이라는 게 정치권 관계자들의 추산이다.
가장 기본적인 비용은 캠프 사무실 운영비이다. 위치와 크기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한달 평균 사무실 임대료는 300만~500만원 정도다. 여기에 사무실을 꾸려가는 상근 직원들의 월급과 각종 세금, 통신비 등을 더하면 500만원에서 1,000만원의 비용이 추가로 소요된다. 물론 사무실에 상근하는 직원들의 월급을 최소화한 셈법이다.
차량 운영비도 무시할 수 없다. 지역구 의원들의 한달 평균 차량 유지비가 평균 300만원 정도임을 감안할 때 대선주자들은 그 이상으로 추산된다. 결국 한달 경상 경비로 평균 1,100만~2,000만원을 잡아야 한다는 얘기다.
선거법 개정 등으로 경조사비는 예전보다는 많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최소한의 공식 행사에 보내는 화환 값도 무시하지 못할 액수다.
문제는 대선주자와 참모들의 활동비다. 대선주자의 하루는 사람을 만나면서 시작해 사람을 만나는 것으로 끝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매 끼니 마다 사람들을 만난다. 핵심 참모들도 사람을 만나는 게 일이다. 결국 이 과정에 들어가는 밥값, 술값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 규모는 중진급 의원들이 쓰는 활동비 규모로 짐작해보는 수밖에 없다. 실제 3선 A의원의 경우 정치자금으로 계산되는 카드로는 한 달에 500만원 정도를 사용한다. 하지만 카드 기록을 남기지 않기 위해 현금으로 계산해야 하는 돈도 한달에 800만원에 이른다. “의원의 한달 활동비가 이 정도이고 보면 대선주자의 경우 2~4배로 봐야 한다”고 정치권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대선주자라면 최소한 2한달 활동비로 2,000만~5,000만원을 쓴다는 것이다. 참모들의 활동비까지 포함되면 액수는 더 늘어난다. 여기에 국내외 방문 일정과 행사비 등을 더하게 되면 비용은 천정부지로 늘어나게 된다.
한 국회의원은 “당내 대선후보 경선이 가까워지면 각 캠프의 매달 비용이 2억~3억원을 훨씬 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이 같은 비용이 모두 대선주자들의 주머니에서 나오는 것은 아니다. “식사를 하면 상대방이 밥값을 내는 경우도 많고 참모들의 활동비는 참모 스스로 조달한다”는 대선주자들도 있다.
이동훈 기자 dhlee@hk.co.kr
■ 대선 주자들의 캠프 운영 어떻게
대선이 1년여 남았지만 여야의 대선 주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공식 캠프를 출범시킨 경우도 있고, 공식 캠프는 없지만 베이스캠프식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서울 종로구 견지동 서흥빌딩에 있는 65평 규모의 ‘안국포럼’ 사무실을 공식 캠프로 사용하고 있다. 7월에 열었다. 9명의 직원이 있지만 공식 급여가 나가는 유급은 아니고, 일부 활동비를 보조한다. 여의도에도 전직 의원 등 지지자들이 만든 보조 사무실격의 공간이 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9월 여의도 엔빅스빌딩에 캠프 사무실을 차렸다. 95평 규모다. 12명이 상근하고 있는데 2명은 의원실에 등록된 보좌관이고 2명은 유급 여직원, 나머지 8명은 무급 자원봉사자다. 마포에는 지지자들이 자발적으로 연 사무실이 하나 있다.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에 있는 국회의원 사무실도 캠프 보조 사무실 성격을 띠고 있다.
고건 전 총리는 아직 공식 캠프가 없다. 하지만 11월 문을 연 종로구 인의동 인의빌딩에 있는 60평 규모의 ‘희망연대’ 사무실이 베이스캠프 역할을 하고 있다. 유급 직원 3명, 무급 자원봉사자 5명이 상근하고 있다. 같은 빌딩에 있는 20평 규모의 ‘미래와 경제’ 사무실도 비슷한 역할을 한다. 10년 넘게 사용하고 있는 종로구 연지동 여전도회관 개인 사무실도 있다. 개인 사무실에는 3명이 상근하고 있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서대문구 충정로2가 사조빌딩에 2개의 사무실을 갖고 있다. 각각 20평, 10평 규모다. 하나는 공식 사무실이고 다른 하나는 실무진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 10명의 상근자가 있지만 공식 급여는 없고 활동비 정도만 지원 받는다.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은 여의도 대하빌딩에 있는 ‘나라비전연구소’를 사무실로 활용하고 있다. 43평 규모인 이곳은 정 전 의장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사단법인이다. 상근 직원은 10여명으로 재정이 여유롭지 않아 정식 급여 없이 활동비만 주고 있다.
김근태 우리당 의장 역시 자신의 싱크탱크인 ‘한반도재단’ 사무실을 베이스캠프로 사용한다. 여의도 신동해빌딩의 40평 규모다. 5명의 상근 직원이 있지만 활동비 정도를 지원한다. 현역 의원이라 지역구인 도봉구에 국회의원 사무실이 있다.
정녹용 기자 ltrees@hk.co.kr
■ 대선 주자들 재산 내역
대선주자 중 이명박 서울시장의 재산이 179억6,75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의 재산은 서울 서초구 빌딩(신고액 62억8,700만원)과 상가(46억6,600만원), 양재동 빌딩(43억원) 논현동 주택 대지(12억2,500만원) 등 부동산이 대부분이다.
고건 전 총리는 2003년 4월 공직자 재산공개 때 35억6,400만원을 신고했지만 결혼한 장ㆍ차남의 재산을 빼면 부부 명의 재산은 서울 종로구 동숭동 자택(12억8,900만원) 등 13억8,000만원이라고 밝혔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2층 양옥(10억6,100만원)과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의 32평 아파트(1억7,200만원) 등을 포함, 11억7,6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은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 42평 아파트(5억5,000만원)과 전북 순창의 임야 등을 합해 재산이 9억4,300만원이다. 김근태 우리당 의장의 재산은 서울 도봉구 창동의 빌라(2억6,000만원)과 예금(2억2,600만원) 등 5억3,200만원.
손학규 전 경기지사의 재산은 경기 광명시 철산동의 37평 아파트(1억4,500만원)와 예금(1억4,900만원) 등을 포함해 2억9,400만원으로 대선주자 중 가장 적다.
최문선 기자 moonsun@hk.co.kr
■ '대선 주자들 후원금 모금' 전문가 의견
대선 주자들의 후원금 모금을 합법화하자는 주장은 정치권에서 먼저 나왔다. 현행 정치자금법은 대선 주자의 후원금 모금은 각 당의 경선기간 동안에만 대통령 선거비용 제한액(479억원)의 5% 이내에서 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열린우리당 원혜영 사무총장은 대선 240일 전 중앙선관위에 예비후보로 등록한 사람들은 후원금 모금을 합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정치자금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 선관위도 “같은 취지의 관련법 개정의견을 만드는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정도 개정으로는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미국 선거제도 전문가인 단국대 정치외교학과 안순철 교수는 “대선 주자 검증과정에서는 정책개발과 조직력 평가 등이 필수적인데, 합법적으로 쓸 수 있는 돈이 하나도 없는 사람들이 어떻게 정책을 개발하고 조직을 이끌겠느냐”며 “대선 주자들은 움직이고 있는데, 후원금 모금 개시일을 240일 전(내년 4월)으로 못 박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안 교수는 “현행 정치자금법이 후원금의 모금과 지출을 까다롭게 검증하고 있기 때문에 금권선거 우려는 없을 것”이라며 “미국처럼 최소한 대선 1년 6개월 전부터는 후원회를 열 수 있도록 하고, 선거운동 기간 쓰고 남은 돈은 정당이나 공익법인으로 환수하는 방안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경희대 정하용 교수(정치학)는 “현행법 하에서는 대통령에 당선이 되든 떨어지든 모두 범죄자가 된다”며 “대선 주자가 출마 선언을 하는 시점에서부터 합법적으로 모금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투명성 확보를 위해 정당을 모금창구로 하고, 기부자의 의사에 따라 배분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신재연 기자 poet333@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