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모처럼 맥을 제대로 짚은 것이다. 외교통상부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주최로 어제 개막된 제1차 '한국-아프리카 포럼'은 우리나라의 미래가 걸린 행사다.
올 3월 노무현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 이후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간의 실질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협력방안을 찾기 위해 설립된 협의체 '한국-아프리카 포럼'은 사실상 특정 대륙을 겨냥한 최초의 국가 프로젝트다.
콩고 나이지리아 등 5개국 정상과 25개국 각료 27명, 학계 인사 등이 참석한 이번 포럼은 지금까지 열린 아프리카 관련행사 중 최대 규모다.
그러나 이웃 경쟁국들이 펼쳐온 대(對) 아프리카정책에 비하면 뒤늦고 초라한 감을 떨칠 수 없다. 일본은 14년 전에 이미 아프리카개발회의를 발족시켜 매년 지원규모를 늘려 왔고, 중국은 파격적 지원프로그램으로 아프리카를 자국의 자원ㆍ생산기지로 변화시키고 있다.
대규모 채무 탕감 및 차관 제공, 인재 양성 등의 선심정책을 펴온 중국은 4~6일 베이징에서 아프리카 48개국 지도자들이 참석한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을 열어 슈퍼파워를 과시했다.
이미 아프리카의 3대 교역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포럼을 통해 원조ㆍ차관의 대폭 증액을 공약하자 국영ㆍ민영기업들의 대 아프리카 투자계획 발표가 봇물을 이루었다고 한다.
아프리카는 더 이상 '검은 대륙'이 아닌 지구촌의 '마지막 성장엔진'으로 지목되고 있다. 경쟁국들이 아프리카에 공을 들이는 것은 무한한 자원과 성장 가능성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아프리카와의 협력관계는 교역비중(작년기준 1.7%)이 말해주듯 미미하다. 뒤늦게 눈을 돌린 탓이지만 그만큼 성장의 여지가 많다는 뜻도 된다.
나이지리아의 철도공사를 해주는 대신 유전개발권을 얻는 약정 같은 것은 좋은 협력모델이다. 오늘 발표될 '한-아프리카 포럼에 관한 서울선언'에 알찬 내용을 담아 아프리카에 경제개발 경험을 전해주면서 성장동력을 얻을 수 있는 협력관계를 구축해 가기를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