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혁신의 성과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고자 합니다.”
올해로 세 번째를 맞는 ‘대한민국 지역혁신박람회’를 주최하는 성경륭(52)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이번 행사가 품격 높은 삶의 질을 갖춘 지역의 미래를 함께 그려보면서 국토 균형정책의 성과와 비전을 점검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지역혁신박람회는 각 지자체, 지방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이 모두 주체가 돼 서로의 성과를 나누고 배우는 토론의 장”이라며 “이번 박람회의 주제를 ‘살기좋은 지역만들기’로 정한 이유도 균형발전의 궁극적 목표와 일치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성 위원장은 이번 행사가 전국의 지자체와 대학 등이 저마다의 성공 사례를 발표하고 관련 세미나, 전시회 등을 통해 지역 발전을 꾀하는 학습의 장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기술과 노하우를 사고 팔 수 있는 말 그대로 박람회라고 말했다.
그는 “수도권과 지방의 동반성장을 통해 지역과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지 않으면 국제 경쟁에서 도태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 동안 양적 성장에 치중했다면 이제는 질적 성장에 집중할 때라는 것이 그의 신념이다. 새로운 전략 없이는 국가와 지역의 발전을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성 위원장은 이를 위해 과거 ‘요소 투입형 경제’에서 벗어나 혁신 주도형, 창조형 발전으로 성장 동력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특히 수도권 일극 중심형 성장에서 다극 분산형 성장으로 국가발전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국토 여건상 4대 경제권이 형성돼야만 국토의 균형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법ㆍ제도를 정비하고 중장기 계획과 재원을 마련함으로써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기반을 구축했다고 자평했다. 구체적으로 행정복합도시를 건설하고 175개 공공기관이전을 통해 10개 혁신도시와 기업도시 건설 등을 통해 다핵 경제권으로 국토 구조를 개혁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방의 교육여건을 개선하고, 취업기회를 확대해 자연스레 지방으로 사람이 몰리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에 문화수준, 소비여건, 의료 등 삶의 질을 개선하는 기반을 구축해 나가는 것이 바로 균형발전이라고 정의했다.
성 위원장은 이 같은 국토 구조개혁이 수도권을 ‘공동화’하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말했다. 수도권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구안정화와 삶의 질 향상이 급선무라고 주장했다.
또 지역 발전의 전제조건으로 우선 인재를 키워야 하고, 자립 가능한 기술 역량을 갖추는 한편 지역마다 특화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 동안 지방은 정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수직적 관계에서 벗어나, 스스로 발전모델을 찾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수평적 구조로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성 위원장은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시절 정책자문위원으로 노무현 대통령후보 진영에 합류했다. 2004년 대통령자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취임한 이후 행정수도이전,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정과 공공기관 이전 사업 등이 그의 작품이다. 최근 제3기 국가균형발전위원장에 다시 위촉됐다.
송두영 기자 dys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