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사무총장은 국가원수에 준하는 예우를 받고 지명도에선 미국 대통령에 버금가며 도덕적 권위면에서 교황에 종종 비유된다.
사무총장은 유엔의 실질적 수장으로서 전세계 192개 회원국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공평무사하게 풀어내야 하는 고난도 외교력이 요구되는 사령탑이다. 또 국제분쟁의 조정자로서 정치적 중립성이 요구된다.
역대 사무총장의 국적이 노르웨이 스웨덴 미얀마 오스트리아 이집트 가나 등 중소국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사무총장은 강대국간의 민감한 이해관계를 중립적 위치에서 중재하는 역할에 치중해 왔다.
유엔 헌장은 사무총장 신분에 대해 ‘유엔 사무국의 수석행정관으로서 사무국 직원 3,000여명을 지휘하며 업무수행에 있어 어떤 정부나 기구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국제공무원’으로 규정한다. 따라서 사무총장은 유엔 총회를 비롯, 안전보장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 신탁통치이사회 등 모든 회의에 사무국 수장 자격으로 참석한다.
사무총장은 1만여명의 유엔 직원들에 대한 인사권과 막대한 예산을 집행한다. 연봉은 1997년 이래 22만7,253달러(약 2억원)로 책정돼 있다. 판공비, 경호 등도 제공받는다. 뉴욕의 총장 관저를 1년에 1달러만 내고 사용하는 특권도 누린다. 외교 관례상 세계 각국에서 받는 의전은 당사국 행정부 수반에 준한다.
그러나 사무총장은 최근 힘의 논리를 앞세운 국제사회에서 역할이 크게 축소되고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대부분의 역대 사무총장들이 미국과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5개 유엔상임이사국의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었다는 점에서 태생적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손재언 기자 chinss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