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로 인문학자 정명환(77ㆍ전 서울대 불문과 교수) 선생의 책 ‘현대의 위기와 인간’(민음사 펴냄. 1만 8,000원)은, 그 자체로 한국 인문학이 도달한 아득한 성취라 해도 좋을 것이다. 책 속에 녹여낸 지식(철학과 문학)의 폭과 깊이 때문이 아니라 그 지식을 저민 문장의 격조가 그렇다는 것이고, 단아하고 지적인 문장을 통해 은근히 드러내는 높고 원숙한 정신이 그렇다는 것이다.
그는 책에서 물질문명의 악력과 거기 묶여 신음하는 인간 정신에 대한 ‘의연한 체념’(현실주의자의 소극적 체념이 아닌)과, 가냘픈 희망(관념주의자의 이상론이나 당위론이 아닌)의 방법론을 전한다.
그 논의의 출발점이자 토대라 할 현대 위기의 실체를 그는 노동의 현실에서 찾으며 생텍쥐페리의 한 구절을 인용한다. 파일럿이었던 생텍쥐페리는 1920년대 항공기 조종은 “엄청난 장애물과 대치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위대성을 발견하고 자기 실현을 이루는” 과정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인간의 대지’를 출간하던 39년의 그는 이미 실험실에 갇혀버렸다고 자탄한다. “이제 바늘의 움직임에 복종하는 것이지 천지의 변화에 복종하는 것이 아니다.” 저자는 21세기의 기계화ㆍ획일화의 노동 현실에서 “창조, 인간의 존엄성, 연대의식, 죽음의 의미, 자연과 투쟁과 교감 따위의 가치”를 찾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적었다.
저자는, 이 로봇 테크놀러지의 시대가 여가마저 노동의 논리 속에 포섭해, “여가가 노동의 원활한 운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강제한다고 썼다. 현대인의 여가의 공통성은 “수동성에 의해서건(TV연속극을 보는 경우), 열광에 의해서건(가령 광란적 음악 속에 빠져드는 경우) 간에, 인간의 존재에 관한 귀찮은 반성이 들어앉을 내면적 공간을 소거하는 데 있다.”(22쪽)
이 현실에서 예술이 존중 받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왜냐하면 예술은 지배 계급의 존재를 위한 필수 조건인 인간소외에 항거하는 초월과 새로운 시각과 이의제기를 그 본질적 기능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28쪽) 그는 이 아이러니의 참혹한 현실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핀다.
경제적ㆍ기술적ㆍ문화적 세계화와 동질화(미국화), 기능적 언어의 위세 앞에 왜소해져 가는 예술적 언어의 고뇌, 진실을 둘러싼 철학과 문학의 알력 등…. 그러면서 그는 개인ㆍ국가의 생존전략, 곧 기계화한 노동 메커니즘의 수용이나 세계화 추세에의 편승이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고 수긍한다. 요컨대 ‘의연한 체념’이다.
하지만 그는 체념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호소한다. 그 어쩔 수 없는 사회적 자아를 응시하면서, 반성하는 주체적 자아ㆍ내면의 자아를 지켜나가자고, 고통스럽더라도 그 이중적 자아를 지니자고 고언한다. 그 모순의 상황을 견디고, 그 위에서 희망을 찾자고, 그 힘든 삶에 문학이 힘을 줄 것이라고 말한다.
이 책의 매력은 저자의 전언 자체보다, 당대의 사상가와 작가들을 비평적으로 살피면서 그 전언을 끌어가는 과정에 있다. 이 우람한 노 학자는 절망의 현실 앞에서도 의연하고, 실낱 같은 희망 앞에서도 여유롭다. 문장의 힘이고 인문학과 인문학 정신의 힘이며, 문학의 힘이다.
최윤필기자 walde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