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는지 모르겠어요.", "설마 똑 같은 일이 다시 벌어지지는 않겠지요?"
전날 사임 의사를 밝힌 김병준 교육부총리 사태를 놓고 교육인적자원부 직원들은 3일 원망과 걱정이 섞인 반응들을 쏟아냈다. 전자가 "김 부총리가 억울하게 당했다"는 동정론이라면, 후자는 후임에 쏠린 관심의 다른 표현이기도 했다.
사실 교육부 직원들에게 교육부총리 조기 낙마는 낯설지 않은 장면이다. 노무현정부 들어서만 3년 6개월여동안 김 부총리를 포함해 5명의 교육수장을 떠나 보냈다. 1인당 평균 재임기간이 9개월도 안될 정도로 수명이 짧다.
취임 13일만에 물러나기로 한 김 부총리 기록만 따지면 아들의 이중국적 문제 등 도덕성 시비로 57시간 30분만에 사퇴한 이기준 전 부총리에 이어 2위다. 잦은 교체로 정ㆍ관계 일각에서는 툭하면 "교육부는 장관들의 무덤"이라는 비아냥이 나온다.
임명→ 경질→ 재임명 수순의 교육부총리 인사 악순환은 단골메뉴다. 그때마다 교육부는 "나름대로 경질 사유가 있어 새삼스러울 게 없다"는 이유로 덩달아 무덤덤한 분위기였지만 이번에는 달라 보였다. 말로만 듣던 '코드 인사' 후유증의 직격탄을 맞은 탓이다.
김 부총리를 둘러싼 논문 파동이 졸지에 정치 이슈로 비화하고, 이에 따라 옷을 벗어야 하는 '현실'을 목도한 교육부 공무원들은 불안감이 역력했다. 재연될 수도 있는 '제2의 김병준' 인사에 대한 두려움도 크다.
또 다른 논란만 유발하고, 이 사이 교육계는 혼란과 갈등으로 백년대계와는 점점 멀어질 것이라는 걱정이 팽배하다. "교육부총리 자리는 정실 인사와 어울리지 않아요. '코드 인사 실험'은 이번이 마지막이 돼야 합니다"라는 한 원로 교육학자의 언급은 교육계 전체의 간절한 바람이기도 하다.
김진각 사회부차장대우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