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새 지평을 열겠습니다. ”(7월21일 취임식 후 기자간담회) “고통을 당한 가족과 함께 쉬고 싶습니다.”(2일 사의를 표명하면서)
김병준 교육부총리가 교육부 수장으로 머문 13일은 시작과 끝이 판이하게 달랐다. ‘노(노무현 대통령)의 남자’로 불리는 그의 교육부총리 임명에는 ‘‘코드 인사’라는 꼬리표가 붙었다. 교육 정책 구상의 집행을 통해 ‘교육 문외한’이라는 세평을 불식하려 한 그의 야심은 국민대 교수 시절의 논문 관련 시비에 발목이 잡히면서 꺾이고 말았다. 그는 퇴임의 변으로 “당분간 쉬고 싶다”고 했다. 하지만 논문 표절 및 학술지 이중게재 등 갖가지 의혹이 ‘무혐의’로 밝혀지기 전까지 ‘상당 기간’ 공식 활동을 미뤄야 할 상황을 맞게 됐다. 한 대학 교수는 “김 부총리가 자신의 논문 논란을 ‘학계의 관행’과 ‘실무자 실수’ 등 탓으로 돌리면서 결백을 주장해 교수 사회의 불만이 크다”며 “교수직 복귀 과정 등에서도 논란이 일 여지가 크다”고 전망했다.
그는 내정 단계부터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노 대통령이 지난달 3일 김진표 교육부총리 후임으로 그를 내정하자마자 야당은 물론이고 여당에서도 브레이크를 걸었다. 그가 청와대 정책실장 시절의 ‘세금 폭탄’ 발언 등 부동산 정책에 대해 국민적 반감이 커 교육 수장으로는 부적절하다는 이유에서다.
지난달 18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병역기록부 학력기재 오류와 두 자녀 외고 편ㆍ입학 의혹 등을 정면 돌파하면서 그의 교육부 안착이 이뤄지는 듯 했다.
그러나 사실상 집무 첫날인 24일 국민대 교수 시절 제자의 박사학위 논문 설문조사 결과를 사전 인용한 논문을 한국행정학회 학술지에 발표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교육부 수장으로서의 ‘도덕적 흠결’이 여론의 도마에 본격적으로 올랐다. “내 논문이 먼저 발표됐는데 무슨 표절이냐”고 항변했지만 논문 중복게재 의혹 등이 잇따라 터지면서 여론은 그에게 등을 돌렸다. 일요일인 지난달 31일에는 ‘사실을 밝힙니다’ 라는 해명서를 직접 작성해 반전을 시도했지만 백약이 무효였다. 그는 1일 국회 증언을 학자적 명예회복을 위한 마지막 해명 기회로 삼는 데 만족하면서 다음날 자진 사퇴를 결심, 교육부와의 악연을 끊었다.
김진각 기자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