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언론 보도와 학자들의 전언에 따르면 중국이 이르면 내년, 늦어도 2008년까지 발해의 수도였던 상경용천부 유적(헤이룽장성 닝안시 보하이진 소재)과 백두산(중국명 창바이샨)에 대해 각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 등록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한다. 중국은 이미 수천억 원을 들여 상경용천부 유적지 발굴 및 정비를 거의 마쳤다.
자국 영토에 있는 유적지나 경승지에 대해 세계유산으로 신청하는 것이야 그 유적지의 역사적 연고가 누구에게 있든 간에 문화재 보전이라는 차원에서 바람직한 일이다. 문제는 중국의 행동이 단순한 유적 보호 차원이 결코 아니라는 데 있다.
2004년 중국이 고구려 고분군에 대한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군사작전 치르듯이 한 데서 보듯이 중국은 옛 고구려와 발해를 포함한 만주(중국 개념으로는 동북 3성) 지역의 역사적ㆍ민족적ㆍ영토적 연고권을 중국에 철저히 귀속시키고('동북공정') 낙후된 이 지역의 경제 개발을 적극 추진('동북진흥전략')함으로써 조선족을 비롯한 소수민족의 동요와 이탈을 방지하고 한반도 통일에 대비하는 장기적 포석을 깔고 있다.
그 결과로 역사 왜곡과 함께 중국의 패권주의가 갈수록 노골화하는 것을 우리는 우려한다. 예컨대 중국이 "당나라의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하는 발해 상경용천부 유적의 경우 1963~64년에는 중국과 북한이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발굴했는데, 지금은 한국인들의 출입조차 엄금하고 있으니 그 사이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문제는 이런 흐름에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남의 나라 내정 문제여서 외교문제화하기 여의치 않은 특성이 있고, 사면초가인 북한으로서도 적극 대처할 여력이 없는 형편이다.
2004년 3월 이런 문제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고구려연구재단이 발족했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채 사회적 관심도 많이 식은 듯하다. 사회 각 부문에서 중국의 노림수를 경계하면서 국제사회에 역사 문제를 제대로 알리는 노력이 활발해져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