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ㆍ여당이 수해대책의 일환으로 그 동안 보류해 온 다목적댐 건설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전국을 할퀸 물난리를 두고 다양한 진단과 대책이 나오고 있고, 영서지방을 비롯한 일부 지역의 다목적댐 건설 보류도 한 원인이라는 지적에 대한 반응이다.
여론에 신속하게 반응하는 것은 정부ㆍ여당의 당연한 책무다. 큰 물난리를 겪어 모든 것이 새롭게 보이는 마당에 과거의 고정관념에만 사로잡혀 있을 일도 아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다목적댐 건설이 아니라 오직 치수만을 목적으로 한 댐 건설 등 모든 대책을 논의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현재와 같은 댐 건설 논의가 수해 요인 분석 및 대책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가로막을 수 있다는 데서 졸속 검토를 우려한다. 또한 오랜 국민적 논란을 거쳐 선택된 댐 건설 보류를 마치 급진적 환경단체의 주장만 들어준 것으로 이해하는 것도 사실적 경과를 왜곡하는 일이다.
댐의 홍수조절 능력에 대해서는 두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현재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강원 영서지방의 수해가 단순히 댐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보는 전문가들은 드물다.
오히려 경사면의 무성했던 임야가 앞을 다투어 고랭지 채소밭이나 목초지, 스키장 등으로 바뀌어 하천으로 흘러들기 전의 수량이 이미 크게 늘었다. 나무 한 그루 한 그루가 붙잡아 둘 수 있는 엄청난 양의 물이 그냥 흘러내려 갔고, 더욱이 그 물이 임도 등 인공 ‘물길’을 따라가며 가속도를 붙였다. 이런 상태를 그대로 둔 채 댐만으로 자연의 복수를 막아낼 수는 없다.
우선 내린 비를 최대한 잡아둘 수 있는 활엽수림을 적극적으로 키우고, 더 이상 경사면의 농경지나 관광개발이 늘어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산간의 자갈길 포장을 자제하는 등 유속을 늦출 수 있는 제반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 그리고 나서 댐 건설을 논의해도 늦지 않다. 지금은 온통 물난리로 다른 것은 보이지 않겠지만, 물의 도시인 춘천과 양평의 짙은 안개나 혹한에서 보듯 댐의 악영향도 적지 않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