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후 포스코 본사가 보이는 포항종합운동장. 30여개 시민ㆍ사회단체 주최로 파업 19일째, 포스코 본사 점거 6일째인 포항지역 건설노조의 파업 중단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사용자측을 편들기 마련인 일부 단체를 감안해도 참가 인원이 1만명이 넘었다는 사실은 포항 시민들이 느끼는 사태의 심각함을 짐작케 한다.
건설노조 파업이 포스코 본사 건물 점거 농성이라는 극한 투쟁으로 이어지면서 포항시는 큰 혼란에 빠졌다. 포스코 점거 이전에도 노조원들이 포항제철소 출입구마다 지키고 서서 직원과 차량을 통제하는 통에 극심한 교통정체를 빚는 등 시민들의 반감을 샀다.
더구나 포스코 점거 과정에서 경찰을 상대로 가스를 이용한 화염공격, 뜨거운 물 붓기 등 극단적 수단이 동원됐다는 소식에 시민들의 가슴은 철렁 내려앉았다.
때문에 강경한 투쟁이 오히려 정부와 원청업체인 포스코, 사용자인 전문건설업체의 입장만 공고히 한 채 노조의 명분을 갉아먹었다는 느낌이다.
이 무정부적인 상황의 불이익은 고스란히 시민 몫이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그게 현실이다. “건설 노조원들은 포항 시민이 아닌가? 싸우더라도 적당히 해야지, 이해하다가도 부아가 치민다.” 수해에다 파업으로 올 여름 장사를 망치게 됐다는 죽도시장 한 횟집 주인의 푸념은 포항의 민심을 대변한다. 노조에 맞서 일반 시민들도 대규모 항의시위에 나서면서 지역사회의 분열이 심해지고 있다는 점도 우려스럽다.
정부도 이날 “자진해산을 촉구하는 동시에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처하겠다”는 ‘최후통첩’을 내렸다. 남의 집에 몰려가 투쟁을 벌일 만큼 급박한 노조의 사정을 마냥 무시할 수는 없지만 지나치면 탈이 나는 법이다. 더 큰 불상사가 생기기 전에 노ㆍ사 당사자는 물론 당국과 포스코 모두 협상에 나서 문제를 풀어야 하는 이유다.
정광진 사회부기자 kjche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