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설득 작업이 아직 성과를 내지 못함에 따라 중국이 곤혹스런 표정을 짓고 있다.
홍콩의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13일 “15~17일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릴 주요8개국(G8) 정상회의에서 모든 시선이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에게 쏠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6자 회담 재개의 짐을 짊어진 중국을 향해 시선이 집중돼 부담스러울 것이라는 얘기이다.
지난 5일 북한 미사일 발사 후 북한 제재에 반대하는 외교를 펼쳐왔던 중국의 손실은 적지 않아 보인다. 리광민 칭다오(靑島)대 교수는 “중국에게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양날의 칼이었다”면서 “중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대치가 높아져 버렸다”고 말했다. 북한의 후견인으로 인식돼온 중국의 외교 역량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렇다고 중국이 태도를 바꿔 전략적으로 끌어안아야 할 북한에게 뒤늦게 강한 압박을 가할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북한 제재 결의안을 막기 위해 의장 성명안, 제재를 뺀 비난 결의안을 잇따라 낸 상황이어서 운신의 폭도 매우 좁다.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의 한 교수는 “후 주석은 G8에서 동북아 안정과 평화를 바라는 중국의 입장을 재강조하는 선으로 발언 수위를 조절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끝까지 미ㆍ일이 제출한 북한 제재 결의안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굽히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중국의 또 다른 고민은 한반도의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생길 불가측성과 앞으로도 북한을 설득시킬 수단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6자 회담의 장기 공전 속에서 미국과 일본의 압박이 이어질 경우 중국은 외교적 선택을 강요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안방인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 은행(BDA)이 북한의 돈세탁 혐의로 미국의 금융제재를 받은 것과 유사한 사례가 재발하는 상황도 가정할 수 있다.
한편 후 주석은 이번 G8 정상회의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지 않는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혔다.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 문제로 중단된 중일 정상 회동 중단은 9월 고이즈미 총리 퇴진 전까지 변함이 없다는 게 중국측 입장이다.
베이징=이영섭특파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