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교사가 꿈인 이모(17ㆍ서울 현대고 2년) 양은 교육대 진학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재학 기간중 일정 평점이 돼야 교원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는 소식에 속이 상했다. 이양은 “기본적으로 교대는 교사가 되기위해 가는 곳인데, 성적이 안되면 교원자격증을 줄 수 없다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사범대에 들어가 고등학교 수학교사가 되려는 김모(18ㆍ서울 세화여고 3년) 양도 비슷한 생각이다. 교대 뿐 아니라 사대도 학점이 좋지 않으면 교원자격증을 주지 않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교대ㆍ사대생 '무임승차' 곤란
대통령 자문 교육혁신위원회가 최근 내놓은 교원양성체계 개선방안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성적이 나쁜 교대ㆍ사대생은 사실상 교사가 될 수 없도록 하는 내용 때문이다. 반대 목소리가 적지 않아 14일 열리는 혁신위 본회의 결과가 주목된다. 본회의 의결이 되면 노무현 대통령 보고를 거쳐 이르면 2008년부터 시행할 예정이지만 갈길이 멀다.
혁신위 방안의 골자는 현행 교원 양성 시스템 개편이다. 교대와 사대를 졸업하면 별도 시험없이 교원(2급 정교사)자격증을 주고 있는 체제를 고치겠다는 의도다. ‘무임승차’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교대와 사대에도 일반대 교직과정의 교원자격증 획득 기준(평점 80점, B학점 이상)을 적용하려는 것으로 보는 관측이 많다. 혁신위 관계자는 “예비교사들이 교단에 서기 전 실력을 갖추도록 하자는 게 목적”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혁신위가 내민 카드는 ‘평점’이다. 4년 평균 평점이 100점 만점에 70점(C0) 또는 75점(C+) 미만이면 교원자격증을 딸 수 없도록 했다.
논란 가열
혁신위 방안에 당사자인 교대와 사대생들은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평점이 교사의 자질을 결정하는 요소라는 인식 자체가 잘못됐다는 이유에서다. 교대 및 사대별로 엄연히 실력차가 존재하는데도 일률적인 평점 기준을 들이대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서울교대생 박모(22)씨는 “교대와 사대 수준이 학교마다 다르다는 것은 해당 학생이면 누구나 아는 사실”이라며 “이런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같은 잣대로 평가하겠다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교대와 사대가 교사 양성이라는 ‘목적형 대학’인 점도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서울 B중 유모 교사는 “사대생이 교원자격증을 따지 못해 교단 진출에 실패할 경우 일반 회사 취업은 더욱 힘들어지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교원자격증 취득 실패 학생은 취업 낙오자가 될 수 있음을 우려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조건부 교원자격증 부여를 찬성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서울교대 송광용 교수는 “교사가 되려는 학생들의 자격을 검증하기 위한 장치가 없는 상황에서 혁신위 방안은 당연한 조치”라고 말했다. 송 교수는 “지금도 70점 미만의 학사경고 대상 학생은 극히 소수여서 평점에 따라 교원자격증을 주더라도 부작용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진각기자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