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가 초래한 위기국면이 갈림길에 접어들었다. 미국 일본이 추진하는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이 이번 주 표결에 부쳐질지 주목되는 가운데,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오늘 평양을 방문할 예정이어서 북한이 중국의 설득에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에 관심이 쏠린다.
중국은 앞서 베이징을 찾은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가 밝힌 미국의 단호한 입장을 전할 것이다. 북한의 사나운 기세가 수그러지면 다행이지만, 대결의지를 굽히지 않는다면 위기가 고조될 수밖에 없다.
관련 당사국의 언행만을 근거로 본다면 위기 완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부시 미 대통령은 외교적 해법이 아닌 다른 선택도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힐 차관보는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지 않으면 어떤 양보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북한은 한성렬 유엔주재 차석대사를 통해 미국이 동결한 마카오 은행자금을 먼저 풀 것을 요구, 벼랑 끝 담판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러나 겉보기 타협 전망이 낮다고 해서, 마냥 강경대결로 치달을 것으로 보는 것은 성급하다. 힐 차관보가 베이징 서울 모스크바를 부지런히 오가는 것은 그만큼 강경 일변도 대응이 지지를 얻기 어려운 사정을 일러 준다.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북미 직접대화 요구를 일관되게 지지해 왔다. 따라서 일정한 제재에 동의하더라도, 적당한 시차를 두고 미국이 양보조치를 취하는 조건을 붙일 것으로 본다.
지나친 낙관론으로 들릴지 모른다. 그러나 미국이 북한의 달러위조와 돈세탁 등을 근거로 취한 마카오 은행 자금동결은 뚜렷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 데다 중국 정부 및 북한과 거래하는 유럽계 은행 등의 반발로 지속하기 힘든 상황이다. 미국이 미사일 위기를 계기로 다른 형태의 압박으로 옮겨갈 것으로 보는 이유다.
이런 마당에는 우리 사회도 북한의 위험한 도발과 정부의 미숙한 대응을 성토하는 데만 매달릴 일이 아니다. 사태의 본질을 정확히 보고, 합리적 해결을 관련 당사국에 적극 촉구하는 자세가 절실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