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의 북방한계선(NLL)과 동해의 독도 문제 등, 때아닌 영토분쟁 통에 우리는 또 다른 종류의 영토분쟁을 잊은 것 같다. 바로 중국의 동북공정이다. 소위 동북공정이란 중국의 동북3성 즉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성에서 일어났던 모든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고조선, 고구려, 발해가 한국사와는 관계가 없는 나라가 된다.
● 또 다른 영토분쟁
전문가들이 지적하기를 동북공정을 통해 중국측이 직접적으로 노리는 바는 향후 전개될지 모르는 한반도의 통일에 따른 영토 문제, 그리고 언제 터질지 모르는 중국내 소수민족들의 분열과 자치주의 독립 열망에 대한 사전 예방 차원이라는 것이다.
주지하듯 중국은 원래 한족(漢族)이 중심인 나라다. 역사를 살펴보면 기실 한족이 원래 소유했던 땅이나 거주지역은 현재 중국 영토의 삼분의 일도 안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춘추전국시대부터 꾸준히 영토를 확장하며 지금의 판세를 이룬 것이다.
현재 한족은 55개의 소수민족과 동거를 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소수민족에 대해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고 그들 위주의 자치기구 설치를 허용함으로써 5개의 자치구, 30개의 자치주를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운동에 대해서는 강경 진압으로 맞서고 있다. 이러한 소수민족 정책이 기본적으로는 현재의 중국을 유지하는데 무리가 없지만, 여전히 소수민족의 민족분리운동은 중국의 미래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그 중 달라이 라마로 유명한 티베트(西藏)자치구와 추정 석유 매장량이 사우디아라비아보다 더 많다고 하는 타리무 유전이 있는 신장위구르(新彊維吾爾)자치구는 민족갈등과 독립열망이 특히 강한 지역으로 중국 정부로서는 민감한 문제이다.
이와 유사한 문제가 잠재된 곳이 바로 동북지방이다. 필자 역시 유학시절에 일부 한국인들이 동북3성 혹은 백두산 여행 도중 불필요한 언사로 중국측의 신경을 건드린다는 이야기를 심심찮게 들었던 경험이 있다.
2004년 고구려사 왜곡 문제를 둘러싼 한중 외교부차관급 회담에서 중국측 실무자가 이 같은 상황과 관련해 "한국 내 정계에서 동북지방(만주)을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있고, 한국 정부기관 출판물에서도 이러한 시도가 있어 중국 정부와 국민의 우려가 크다"고 언급한 것도 저네들의 위기감을 어느 정도는 담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냉정히 살펴볼 때 통일이 된다 하더라도 중국과의 현 국경선이 바뀐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점에 대해 중국이 안심할 수 있게 충분히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물론 대국(大國)의 대국답지 못한 처사엔 씁쓸하지만.
● 한국도 다민족사회 대비해야
민족문제는 중국만의 얘기가 아니다. 우리 사회도 점점 다민족화되고 있다. 사회 전체가 이 문제에 대해 고민해야 할 시기가 온 것이다. 탈북자들도 배타적으로 대하는 현실이 엄연히 존재하는 한, 피부색이 다른 외국인들과 융화를 이루기는 요원할 것이다. 다민족사회에 대비한 장기적인 전략이 국가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박성진ㆍ서울여대 중문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